| 제목 | 국가표준㉿ 세계 일류화 추진계획 | ||
|---|---|---|---|
| 저자 | 출처 | 산업자원부 | |
| 발간일 | 2002-10-11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8,628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791 | 다운로드수 | 71 |
| 파일 | 국가표준(KS) 세계 일류화 추진계획.hwp | ||
| 요약 | |||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院長 金東哲)은 글로벌 경제에서 높아지는 표준경쟁에의 능동적 대응을 위하여 2005년까지 표준선진국 진입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2010년까지 G7 수준의 국가표준체계를 확립키로 하였다. ㅇ 2005 년까지 표준 선진국 진입을 위한 기반의 확립 - 국가표준 ; '02.8)13,091종 → 18,000종으로 확대 - 정부규격 통일화 ; '01.12) 10% → 50% 달성 - 국제기준에 의한 표준화 관리기반조성 ㅇ 2010에는 선진 G7수준의 국가표준체제 확립 - 국가표준 → 국제표준과 부합화 된 25,000종 보급 - 정부규격의 통일화 완료 - 국제기준에 의한 표준화 관리체제의 정착 - 선진국 수준의 민간표준 개발능력 제고 국가표준화기관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이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하여 ㅇ 2004년까지 계획되어 있는 국제표준부합화를 금년중 사실상 마무리 - 금년 중 2,000여종의 기존규격을 국제표준과 부합화하여 부합화율을 90%수준으로 제고 - '02.8월말 현재 부합화대상 국가표준 중 4,590종을 부합화 완료('01.12, 52% → 80%) ㅇ '03년부터 15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매년 2,000종씩 향후 4년간 8,000종의 국제표준 직도입 추진 - 13,091종('02.8)의 국가표준을 →'06년 20,000종으로 확대 ㅇ 세계 7대 표준연구개발 선진국 도약을 위한 연구기반조성 - 표준화 연구개발을 통해 신규 국가표준을 연 200종씩 제정 - 우리의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채택하여 국제표준을 주도하는 국가로의 위상정립 - 시장적합성이 큰 표준의 개발을 위하여 산·학·연 협력 강화와 민간 개발기술을 국제표준화와 연계지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