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교역량 증가에 따른 LNG 수송부문의 변화 | ||
|---|---|---|---|
| 저자 | Richard Acason | 출처 | 한국가스공사 |
| 발간일 | 2000-02-27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9,424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4877 | 다운로드수 | 54 |
| 파일 | 교역량 증가에 따른 LNG 수송부문의 변화.doc | ||
| 요약 | |||
| 이 자료는 중국, 인도와 같은 신흥시장에서의 LNG 도입 프로젝트 추진과 아시아, 중동, 대서양지역에서 LNG 생산량 증가 계획 등 최근 일고 있는 LNG 시장의 움직임은 LNG 산업 내에 확대되고 있는 낙관론을 반영하고 있다. 중기적으로 이러한 공급량 증가는 단기 및 spot LNG 계약의 성장을 뒷받침하면서, 예상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수송선 공급에 있어서는, 최근 잉여 수송선이 나이지리아와 트리니다드의 가스 수출 프로젝트에 장기계약으로 흡수되면서, 단기 및 spot물량에 대한 수송 기회가 무너졌다. 그러나 투기를 목적으로 한 수송선 발주에 대하여 고조되고 있는 관심은 2002/3년에 걸친 기간 동안 수송여력을 강화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LNG산업 내에서 증가되고 있는 근원적인 변화는 2010년까지 수송선 수요와 전통적인 교역형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OSC사가 제시한 보고서는 핵심 쟁점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열거하고 있다. - LNG 생산과 수송부문의 비용인하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 - 단기계약의 통합으로 수송선 활용의 융통성 증가 - 트리니다드, 나이지리아, 카타르, 오만, 호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증산 계획에 따른 단기에서 중기로 공급기간 확대 - 미국, 예멘, 이란, 이집트, 베네주엘라의 장기 LNG 공급전망 아시아지역 즉 한국, 대만과 같은 기존시장과 인도, 중국 같은 신흥시장 양측에서 LNG 도입소요량 증가 재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