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경북 건설종합계획 - 편리한 교통·물류 및 정보통신망 구축
저자 출처 건설교통부
발간일 2001-08-06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672,906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134 다운로드수 47
파일 경북 건설종합계획 - 편리한 교통·물류 및 정보통신망 구축.hwp
요약
국토종합계획의 하위계획으로서 2020년까지 도별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군계획의 지침이 되는 제3차 경상북도종합계획(2001.8.6 확정) 중 제2편 제3장 편리한 교통·물류 및 정보통신망 구축 부분이다.

<물류유통계획 기본방향>

물류업무의 광역화·세계화·정보화 등 여건 변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물류업무의 통합성과 효율성·신속성 제고를 위해 항만·공항·철도·도로 등의 산업인프라와 산업단지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전방위물류시스템을 구축함.
공로화물운송업, 해상화물운송업, 항공화물운송업과 같은 수송업과 보관 및 물류관련 서비스를 수행하는 창고 보관업, 하역업, 그리고 컨테이너운영업, 대리점업, 복합운송주선업 등 물류관련 서비스업과 연계된 통합물류정보시스템 구축
뮬류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물류기반시설을 조기 확충하고, 화물터미널, 유통단지 등 화물흐름의 합리적 재편을 위한 지역거점 물류시설의 확충으로 고급·고도 물류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여건 조성
수송­본관­하역 등 업역별 진입장벽을 철폐하고 화물운송사업의 규제 완화 등 물류관련 규제와 절차를 개선함으로 물류업의 전문화·대형화를 도모하고, 유통물류단지를 중심으로 부가가치형 물류시스템(vale-added logistics)을 구축함.
포항 영일만 신항을 중심으로 동북아 국제물류(international logistics)의 중심지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제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점진적으로 내륙거점형 물류네트워크를 내륙-해안 연계형 물류네트워크로 전환해 나감.
고기능성화 되고 있는 산업환경 변화와 온라인시장을 중심으로 한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반물류거점에서 취급하기 어려운 제품을 취급할 특수기능 물류센터를 권역별 산업특성과 특수기능 물류수요를 고려하여 조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