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경북 건설종합계획 - 지역현황과 발전 잠재력
저자 출처 건설교통부
발간일 2001-08-06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325,773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126 다운로드수 49
파일 경북 건설종합계획 - 지역현황과 발전 잠재력.hwp
요약
국토종합계획의 하위계획으로서 2020년까지 도별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군계획의 지침이 되는 제3차 경상북도종합계획(2001.8.6 확정) 중 제1편 제2장 지역현황과 발전 잠재력 부분이다.

1. 지역발전의 잠재력 : 강점과 기회요인
가. 동북아지역의 교통·물류 요충지
경북은 지리적으로 중국의 동북지역, 아시아의 극동지역, 일본에 근접한 반도에 위치한 교통·물류 요충지임. 특히 포항 영일만신항을 중심으로 교통·물류 요충지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지역간 연결을 원활히 하는 격자형 도로망이 발달하여 경북의 전 지역을 1시간권으로 연계할 수 있고, 고속도로 결절지에 유통단지 설치가 용이하며 전국 연결 물류망 형성이 가능함. 특히, 구미∼대구∼포항을 잇는 고속교통망의 구축은 포항 영일만 신항개발과 더불어 국토물류의 대변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임.
국토의 '환동해축'(부산∼포항∼강릉∼속초∼나진·선봉)과 '군산∼포항축'을 잇는 거점지역인 포항 영일만신항이 국제교역의 중심항(Hub-port)으로 개발될 경우 동북아지역의 교통·물류 요충지로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