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경남 건설종합계획 - 현황과 잠재력
저자 출처 건설교통부
발간일 2001-08-06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67,506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208 다운로드수 53
파일 경남 건설종합계획 - 현황과 잠재력.hwp
요약
국토종합계획의 하위계획으로서 2020년까지 도별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군계획의 지침이 되는 제3차 경상남도종합계획(2001.8.6 확정) 중 제8장 산업·경제계획 1. 현황과 잠재력 및 비전정립 부분이다.

<경남산업의 성장잠재력>

한국최대의 운송장비밀집 산업지대·첨단방위산업 집적지
창원시의 중공업기지는 과학기술지대망(Technobelt) 조성계획, 신산업발전기반 면에서 산업쇄신 파급거점의 역할담당
기존 임해공업지역은 21세기 국토 해안축 개발정책에 따라 경쟁력 유지 전망
지역의 고급인력, 축적된 경험, 숙련된 노동력은 첨단공업입지 수용 및 경쟁력 제고에 유리한 조건

국가연구기관, 대학, 기업연구소 입지
과학기술도시의 발전을 위한 우수한 연구기관의 입지와 고급 두뇌확보 용이
산학연협동화단지인 테크노파크의 조성으로 기존의 산업, 연구시설 및 영업을 접목해 발전전략 강구

미래산업을 위한 우수한 기반
경남의 미래산업으로 고려될 수 있는 첨단기계 부품 및 신소재, 생명공학산업, 항공우주산업 등의 기반이 매우 튼튼한 실정임
생명공학 관련 연구는 주로 농업, 미생물 및 생물의학 분야임. 주로 경상대, 인제대, 창원대, 경남대 등 대학 중심으로 생명공학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해양지향성 공간구조
지정학상 동북아 중심에 위치하여 일본과 중국을 연결하는 교통중심역할을 담당한 경남해안지역은 동북아경제권 형성과 남북통일의 여건변화에 맞추어 동아시아 교통, 물류센터로 거듭남
가덕도 신항만개발과 김해공항의 확장으로 국제교류기지의 여건확보

대도시에 인접한 지리적 위치
동측에 인구 500만 규모의 부산 및 울산, 서측에 인구 100만의 광양만권, 북측에 250만의 대구시가 위치해 반경 100㎞ 이내에 인구 1,200만 규모의 거대도시 형성
수도권에 대응하는 동남권 거대도시축 및 동아시아의 중심교역생산지 역할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