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90년대 국내 일반기계산업 설비투자 동향 | ||
|---|---|---|---|
| 저자 | 출처 | 산업은행 | |
| 발간일 | 2002-01-17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2,688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011 | 다운로드수 | 56 |
| 파일 | 90년대 국내 일반기계산업 설비투자 동향.hwp | ||
| 요약 | |||
| 이 자료는 2002년 1월 17일 한국산업은행이 내놓은 '국내산업의 설비투자' 자료중 산업분야별 분석내용이다. <90년대 국내 일반기계산업 설비투자 동향> 일반기계산업은 전형적인 자본재 산업으로 수요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산업이다. 또한 전후방 연관효과가 크고 부가가치가 높은 자본 집약적 산업으로 단기간 내에 경쟁력 확보가 어려워 세계시장의 대부분이 미국, 일본 및 독일 등 기존의 선진국 기업들에 의해 오랫동안 점유되고 있다. 국내 일반기계산업은 70년대 초반 장기 기계공업 육성계획에 따라 발전되기 시작하여 국내 경제의 근대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으며,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등 중화학공업의 성장과 함께 설비능력 투자에 주력하면서 수입대체,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80년대에는 3저 현상에 편승하여 생산증가율이 연평균 약 30%를 기록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