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90년대 국내 운수업 설비투자 동향
저자 출처 산업은행
발간일 2002-01-17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271,596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984 다운로드수 66
파일 90년대 국내 운수업 설비투자 동향.hwp
요약
이 자료는 2002년 1월 17일 한국산업은행이 내놓은 '국내산업의 설비투자' 자료중 산업분야별 분석내용이다.

<90년대 국내 운수업 설비투자 동향>
운수업은 각종 운송시설에 의한 여객 및 화물을 운송하고, 보관 등 운송관련 서비스 수행을 통해 생산활동을 원활하게 하여 재화의 시·공간적 효용을 창출하는 산업으로서 산업화를 촉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종래의 운송이 단순히 생산지와 생산지간, 생산지와 소비지간, 소비지와 소비지간에 재화의 장소적 이전이나 공간적 거리의 극복이란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으나, 오늘날의 운송은 수주, 포장, 보관, 하역, 유통가공을 포함하여 일관운송체계를 이루고 있고, 나아가 국제복합운송으로 발전하고 있다.
경제성장에 따른 교역량 증가와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운수업은 운송수요의 양적 증가와 질적 변화로 인해 국내 운송업계는 지속적인 신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한편 소비자 수요가 다양화되어 다품종소량화 또는 경박단소화 경향으로 전환되고 있어 이에 따른 운송수단과 운송시스템도 변화하고 있다.
운수업의 국내 총생산 대비 비율은 1995년 4.6% 이후 1999년에 20조1천억원으로 4.6%를 차지하는 등 최근 5개년도의 비중이 4.6∼4.7%로 큰 변동 없이 국내 총생산의 증가율 추세와 비슷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