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21세기 떠오르는 중국시장 그 공략비법
저자 박종남 외 출처 산업자원부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0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559 다운로드수 82
파일 21세기 떠오르는 중국시장 그 공략비법.hwp
요약
<목차>
Ⅰ. 연구 목적 및 구성
Ⅱ. 21세기 급변하는 중국 시장
Ⅲ. 대중국 수출 구조와 한국 제품 경쟁력 분석
Ⅳ. 대중국 수출 애로 요인
Ⅴ. 21세기 새로운 수출 형태
Ⅵ. 대중국 수출 유망 품목
Ⅶ. 수출 확대 추진 방안

<부록>
中國 주요 지역별, 품목별 수입상 리스트
1. 北京, 天津, 山東, 河北, 河南 地域
2. 上海, 浙江, 江蘇 地域
3. 遼寧(大連), 吉林, 黑龍江 地域
4. 四川, 重慶 地域
5. 廣東(深 ), 福建 地域
<표 목차>
<표Ⅱ-1> 中國의 外換保有高(연말 기준) 추이
<표Ⅱ-2> 중국 정부의 재정 현황
<표Ⅱ-3> 중국의 주요 經濟指標 추이
<표Ⅱ-4> 품목별 수출입구조의 변화
<표Ⅱ-5> 일반수출과 가공수출의 변화
<표Ⅱ-6> 외자기업의 수출입 비중 변화
<표Ⅱ-7> '10·5계획'말 12개 중점 산업의 對공업생산총액 비중 전망
<표Ⅱ-8> WTO 가입에 따른 중국의 수입 전망
<표Ⅱ-9> 중국 및 세계 주요기관들의 중국 경제 전망(2000∼2010년)
<표Ⅱ-10> 중화경제권 경제 규모(1999년)
<표Ⅲ-1> 한국의 대중국 직접교역과 홍콩 경유 간접교역 추이
<표Ⅲ-2> 한국의 대중국 수출 추이
<표Ⅲ-3>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과 순위 변화 추이
<표Ⅲ-4> 중국의 수입에서 한국의 위치
<표Ⅲ-5> 업종별 대중국 수출 추이
<표Ⅲ-6> 대중국 20대 수출 품목 변화 추이
<표Ⅲ-7> 한국의 대중국 수출 업체 형태별 비중
<표Ⅲ-8> 한국 제품의 중국 최종수요자에게 전달 과정 설문조사 결과
<표Ⅲ-9> 한국 전체 수출과 대중국 수출시 결제 형태별 비교
<표Ⅲ-10> 용도별 결제형태 비교
<표Ⅲ-11> 한국제품의 중국 유통경로 설문조사 결과
<표Ⅲ-12> 중국의 광고업 현황
<표Ⅲ-13> 중국 소유제별 광고회사 현황
<표Ⅲ-14> 중국 광고회사 영업액 현황(1998년)
<표Ⅲ-15> 중국의 산업별 광고액(1998년)
<표Ⅲ-16> 중국의 주요 산업별 일용품 광고
<표Ⅲ-17> 국제합자광고회사별 영업액 현황(1998년)
<표Ⅲ-18> 중국 현지 광고회사 영업액 현황(1998년)
<표Ⅲ-19> 중국의 주요 광고 매체별 가격
<표Ⅲ-20> 한국 제품의 광고비 부담자
<표Ⅲ-21> 한국 제품의 광고 매체 비중
<표Ⅲ-22> 향후 한국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광고 필요성
<표Ⅲ-23> 대련 지역 피혁 한국, 日本, 臺灣의 부대 비용, 물류비 비교
<표Ⅲ-24> 대련 지역 문구류 한국, 日本, 臺灣의 부대 비용, 물류비 비교
<표Ⅲ-25> 중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주요 경쟁 국가
<표Ⅲ-26> 주요 국가와 우리 제품의 가격경쟁력 비교
<표Ⅲ-27> 주요 국가와 우리 제품의 품질 경쟁력 비교
<표Ⅲ-28> 주요 국가와 우리 제품의 디자인 경쟁력 비교
<표Ⅲ-29> 한국과 주요 국가의 섬유기계 중국 수입(HS Code 8447)
<표Ⅲ-30> 사천성 지역의 섬유기계에 대한 경쟁력 및 인지도 조사
<표Ⅲ-31> 한국과 주요 국가의 농기계 중국 수입 비중(HS Code 8433)
<표Ⅲ-32> 한국과 주요 국가의 철강 판재류 중국 수입(HS Code 7209)
<표Ⅲ-33> 한·중 철강산업의 경쟁력 평가
<표Ⅲ-34> 한국과 주요 국가의 폴리에틸렌 중국 수입(HS Code 3901)
<표Ⅲ-35> 석유화학산업 한·중 기술수준 비교
<표Ⅲ-36> 한국과 주요 국가의 반도체 중국 수입(HS Code 8541)
<표Ⅲ-37> 한·중 반도체 산업 기술 수준 비교
<표Ⅲ-38> 한국과 주요 국가의 피혁 중국 수입(HS Code 4104)
<표Ⅲ-39> 한국과 주요 국가의 인조피혁 대중 수입 비중(HS Code 3921)
<표Ⅲ-40> 한국과 주요 국가의 직물 중국 수입(HS Code 5112)
<표Ⅲ-41> 한·중 섬유산업의 경쟁력 비교
<표Ⅲ-42> 한국과 주요 국가의 판지류 중국 수입 비교(HS Code 4810)
<표Ⅲ-43> 한국과 주요 국가의 핸드폰 대중 수입 비중(HS Code 8525)
<표Ⅲ-44> 한국과 주요 국가의 자동차 대중 수입 비중(HS Code 8703)
<표Ⅲ-45> 한국과 주요 국가의 문구류 대중 수입 비중(HS Code 9608)
<표Ⅳ-1> 외화관리국이 관리하는 특수한 거래(수입)
<표Ⅳ-2〉 對中 수출 애로요인
<표Ⅳ-3> 통관과 관련된 애로요인
<표Ⅳ-4> 한국 업체들의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
<표Ⅳ-5> 대중 무역 클레임 유형
<표Ⅳ-6> 중국 업체의 대한국 기업 클레임 발생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
<표Ⅳ-7> 중국 업체의 대한국 기업 클레임 발생 원인에 대한 설문조사
<표Ⅴ-1>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 판매 추이
<표Ⅴ-2> 한국의 대중국 투자 추이
<표Ⅴ-3> 주요 국가별 대중국 투자 추이
<표Ⅴ-4> 지역별 대중국 투자구조
<표Ⅴ-5> 한국 투자업체의 원자재·기자재 수입 및 완제품 수출 비중
<표Ⅴ-6>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방식별 수출입
<표Ⅴ-7> 한국의 대중국 기술 수출 추이
<표Ⅴ-8> 한국의 대중국 산업별 기술 수출
<표Ⅴ-9> 한국의 대중국 업종별 기술도입
<표Ⅴ-10> 한·중간 산업내 무역지수 변화 추이
<표Ⅴ-11> 한·중 산업기술 협력 가능 분야(산업별)



<도 목차>
<도Ⅱ-1> 세계 화상 500대 기업의 주식시가 총액 추이(1995∼1999년)
<도Ⅱ-2> 세계 500대 및 화상 500대 기업의 산업별 구조 비교
<도Ⅲ-1> 한국의 대중국 수출 경로와 규모(1999년)
<도Ⅲ-2> 한·중간 무역결합도 변화 추이(1990∼1999년)
<도Ⅴ-1> 한국의 對중국 수출입과 투자 증가율 추이(1990∼199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