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02년도 수출대책 | ||
|---|---|---|---|
| 저자 | 산업자원부 | 출처 | 산업자원부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77,07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136 | 다운로드수 | 46 |
| 파일 | 2002년도 수출대책.hwp | ||
| 요약 | |||
| 목차 : I. 최근 수출동향 II. 수출부진요인 III. 수출여건 및 전망 IV. 수출 기필코 회복을 위한 종합대책 1. 수출지원체제의 재편·강화 2. 시장별 특성에 맞는 마켓팅 강화 3. 10대 수출주력품목에 대한 수출네트워크 구축 4. 기계류, 부품·소재 수출촉진대책 추진 5.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종합지원체제 보강 6. 플랜트, 서비스수출 등 새로운 수출동력 가동 7. E-트레이드 등 신무역인프라 확충 8. 수출보험·무역금융 등 수출지원제도 보완 9. 세계일류 국가이미지 제고를 통한 수출확대 촉진 10. 월드컵 개최를 활용한 수출증대 <요약> 수출회복을 위한 종합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품목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수출을 전개한다. 이는 반도체, 철강, 조선 등 우리가 시장지배력이 가지고 있는 품목은 업체간 협력강화 등으로 품질에 상응한 제값받기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고 섬유, 가전기기 등 우리가 시장지배력이 없는 품목은 이미지 제고, 제품차별화 등을 통해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별 우리 상품의 경쟁상황에 적합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한다. 이는 선진국 시장에서 일정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한 경우에는 틈새시장 개척 노력을 강화하고 우리의 시장점유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특별 마케팅 대책을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개도국 시장에서는 플랜트 수주, 시장개척단 파견 등으로 시장선점 전략을 강화한다. 그 외 중장기적으로는 품질, 기술, 디자인, 브랜드 이미지 등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 하도록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