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2002년 화두, BCP 시스템
저자 출처 KRG
발간일 2002-05-01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196,647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448 다운로드수 71
파일 2002년 화두, BCP 시스템.pdf
요약

IT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키워드 ‘BCP

BCP(Business Continuity Plan)가 IT 업계 새로운 화두로 등장했다. BCP 는 고객서비스의 지속성 보장과 고객에 대한 신뢰도 유지, 핵심업무기능 수행의 연속성 등을 위한 신속한 절차와 체계를 구축해 기업의 가치를 최대화 해주는 일종의 방법론이다. 자연재해나 재난에 처한 시스템의 운용 복구나 데이터 백업 및 원상회복을 위한 재해복구서비스(DRS;Disaster Recovery Service) 또는 비즈니스 복구 서비스(BRS;Business Recovery Service) 보다는 상위의 개념이다. 특히 BCP 는 백업과 비즈니스 복구라는 단순한 개념을 넘어 비즈니스의 연속성 차원에서 이직과 부서이동이 잦은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해결방안으로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서서히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BCP 가 이처럼 전면에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미국 9.11 비행기테러의 여파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많은 기업들이 비즈니스 연속성 차원에서 상당한 피해를 봤다는 소식들이 국내에도 속속 전해지면서 BCP 를 주목하는 기업들이 점차 많아졌다. 특히 우리나라에선 이번 사건이 있은 직후 금융감독위원회가 ‘금융기관 재해복구센터 구축 권고안’을 내놓으면서 BCP 에 관심도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를 반영하듯 2001 년 12 월 KRG 가 조사한 2002 년 IT 투자계획을 보면 금융권은 DW/CRM(25%)에 이어 백업/복구/보안에 전체 IT 예산의 20.5%를 투자할 정도로 높은 관심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행정자치부, 정보통신부, 기획예산처 등 전자정보 관련 정부 각 부처도 오는 8 월 완료를 목표로 범정부적 통합정보시스템 환경 구축방안을 마련한 가운데 국가경영연속성(BCP) 차원에서 각 부처간 정보시스템을 통합하는 작업을 최근 추진하고 있어 BCP 도입에 불을 지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