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02년 하반기 철강재 수급전망 | ||
|---|---|---|---|
| 저자 | 출처 | 한국철강협회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2,331,30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294 | 다운로드수 | 44 |
| 파일 | 2002년 하반기 철강재 수급전망.hwp | ||
| 요약 | |||
| 목차 : 1. 국내경제 전망 2. 철강수요산업 생산활동 전망 3. 세계 철강경기 전망 4. 국내 철강재 수급전망 가. 粗鋼 生産展望 나. 鐵鋼材 需給展望 다. 主要 品目別 需給展望 요약 : <명목소비> 상반기에 이어 건설 및 제조업의 경기회복으로 상반기대비 1.5%, 전년동기비 7.0% 증가 - 봉형강류의 경우는 전년도 하반기이후 건축경기의 호조지속과 하반기 중 설비투자 증가에 따라 전년동기비 10.7% 증가 - 판재류의 경우는 특소세환원으로 자동차생산은 감소 예상되나, 기계, 조선, 가전 등 수요산업은 호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동기비 3.8% 증가 <수출> 미국의 201조 조사개시 등 수출여건의 악화와 국내수요 증가 영향으로 상반기대비 1.4%, 전년동기비 4.8% 감소 - 미국, 중국, EU등 주요 선진국의 수입규제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로 상반기중 수출 큰 폭의 감소세 - 하반기중에도 통상환경의 악화가 심화될 것으로 보여 수출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생산> 내수회복영향으로 상반기대비 2.3%, 전년동기비 3.1% 증가 - 상반기중 건축경기의 호조로 봉형강류의 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판재류는 포스코의 고로개보수 공사 등으로 감소(봉형강류 9.7% 증가, 판재류 2.3% 감소) - 하반기중에도 봉형강류의 생산은 지속되나, 판재류는 상반기 수준 전망 <수입> 국내수요확대에 따라 증가세 전망 - 포스코의 고로 개보수에 따라 핫코일 수입 증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