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00년 한국섬유산업의 물동분석 | ||
|---|---|---|---|
| 저자 | 출처 | 섬산연 | |
| 발간일 | 2002-07-07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3,107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6262 | 다운로드수 | 103 |
| 파일 | 2000년 한국섬유산업의 물동분석.hwp | ||
| 요약 | |||
| 2000년도 세계경제는 1984년 이후 최고수준인 4.5%이상의 고도성장을 기록했다. 세계 경제의 호황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생산성 향상, 물가안정 등 신경제로 무장한 미국의 고도성장이 크게 기여했으나, 하반기 들어 미국 경기의 장기과열에 따른 불안, 대선문제로 혼돈을 거듭한 끝에 당선자 확정, 선진국간의 경제 및 금융불균형, 고유가, 각국통화의 불확실성, 개도국의 정치 불안 등의 요인으로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세계 총교역 성장률은 1999년 4.4% 증가에서 2000년은 11.8%로 큰 폭으로 증가를 한 것으로 추정되며, 섬유류 교역량은 1999년 2.8% 증가에서 2000년은 3.5%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0년도 섬유원자재 가격은 절대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천연섬유류(원면, 원모)중 원면이 1998년부터 시작된 천연섬유 선호의 패션경향에 따라 각국의 소비 및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유지했고, 원모의 경우 세번수는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나, 중번수/태번수는 보합추세를 보여 약간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화섬원료는 품목에 따라 차등은 있으나 국제유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수요 부진으로 큰 폭의 인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상황을 살펴보면, 외환유동성 부족으로 촉발된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침체상태였던 우리 경제는 1998년 하반기(8월) 이후 급속한 경기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2000년 들어 부실기업 퇴출, 대우차 부도, 현대건설 유동성 위기, 반도체 가격하락, 고유가의 지속 등으로 하반기 이후 경기가 둔화되었고 10월 이후는 경기가 급격히 위축되었다. 이러한 국내 외 경제여건을 감안 섬유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 상반기는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따른 수출여건 호전 및 국내 경기호전 등에 힘입어 성장세를 누렸으나, 하반기 들어 세계경제 불안 및 국내여건 악화로 성장률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류 전체의 총물동량 증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부분을 보면 전년도와 같이 공급측면에서는 수입물량 증가가 컸고, 수요 측면은 국내소비가 큰 폭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