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00년 국내 주요 무역항간 내항화물 기종점 분석 | ||
|---|---|---|---|
| 저자 | 오용식 | 출처 | KMI |
| 발간일 | 2002-05-27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2,188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892 | 다운로드수 | 91 |
| 파일 | 2000년 국내 주요 무역항간 내항화물 기종점 분석.hwp | ||
| 요약 | |||
| 2000년 1월에서 12월간 1년분의 무역항 화물 반출입 데이터에 의거하여 우리나라의 내항화물 기종점을 분석한 결과, 인천과 울산, 광양항 등이 주요 기종점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연간 내항화물 물동량은 1억4천만여톤에 이르고, 광물성생산품이 전체 물동량의 약 77%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HS코드 기준)했다. 내항화물의 주요 기점은 석유화학과 철강산업이 집적되어있는 울산과 광양, 여수, 대산항이었다. 또한 시멘트와 광석자원의 주산지인 동해, 삼척, 묵호, 옥계항 등도 중요한 기점지역이었다. 내항화물의 종점으로는 인천항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으며(39.9%), 부산, 대산, 광양, 평택, 포항, 울산항 등 소비지와 산업지역에 위치한 항만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는 마산, 목포, 군산, 제주항 등 지방 중심지역의 항만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