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특별연재 물류 Outsourcing] - 개요 | ||
|---|---|---|---|
| 저자 | 출처 | 물류신문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8,400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5818 | 다운로드수 | 60 |
| 파일 | [특별연재 물류 Outsourcing] - 개요.doc | ||
| 요약 | |||
| 물류신문사의 월간 e-Logistics 2002년 12월호 [특별연재]물류Outsourcing 자료는 LG CNS Entrue Consulting 서비스그룹이 제공하는 것으로 물류 Outsourcing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물류 Outsourcing의 개념, 발전 과정 및 Trend 등을 소개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좀 더 정확히 말하면 IMF 관리 체제가 시작된 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물류 Outsourcing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했고, 또 물류 Outsourcing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물론 과거부터 물류 Outsourcing이라는 개념이나 기업활동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광의의 개념에서 본다면 제품의 보관을 대행하는 창고업, 제품을 운송해 주는 운송업, 물류센터의 하역작업을 대행해 주는 하역업 등 수많은 물류 Outsourcing의 형태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 당시만 하더라도 물류 Outsourcing이라는 개념보다는 단순 물류업이라는 측면에서 한정된 기능에 대해서만 이루어 진 것이며 본격적인 물류 Outsourcing의 개념이 정립되고 종합적인 물류 서비스 사업이 전개된 것은 '97년 이후부터라고 보는 것이 좀 더 정확할 것이다. '97년부터라고 하는 정의는 사회 전반에 걸쳐 Outsourcing이라는 용어가 회자되고 물류업에 종사하는 사람 외에 화주기업 등 일반적인 사회 구성원들이 물류 Outsourcing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시기를 말한다. 이 때부터 3PL 사업(Third Party Logistics)이라는 용어가 물류산업 전반에 걸쳐 통용되기 시작했으며, '98년부터 본격적으로 물류 Outsourcing을 전담으로 하는 3PL 사업기업들이 생겨났고, 기존의 운송·택배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던 대형 물류회사들도 기업물류 Outsourcing에 관심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3PL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