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특별기고] - Digital Picking System | ||
|---|---|---|---|
| 저자 | 출처 | 물류신문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29,696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6393 | 다운로드수 | 74 |
| 파일 | [특별기고] - Digital Picking System.doc | ||
| 요약 | |||
| 물류신문사의 월간 e-Logistics 2001년 8월호 [기획특집] 특별기고 -DPS- 기사는 소량 다빈도 시대에 화물의 분류 속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DPS 전문기업의 관계자 글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물류센터에 도입되는 첨단 설비 DPS(Digital Picking System)는 기존의 단순 창고 개념을 벗어나 각 지역 지점에서 컴퓨터를 통해 제품을 주문하면 본사와 물류센터의 전산시스템에서 제품이 파악돼 주문자가 원하는 시간에 정확하게 배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영업현장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물류비용의 절감은 물론 고객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가능해졌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가 디지털 정보기술의 시대라는 사실에는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으며, 그리고 직접적으로 디지털 문화를 누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경제의 주역인 각 기업에서 특히 디지털 정보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곳은 바로 물류센터일 것이다. 왜냐하면 입고 작업에서 출고작업 및 배송작업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숫자(DIGIT)라는 매개체에 의하여 움직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소비자가 주문한 제품의 수량을 핸드링하는 일련의 과정이 물류센터의 역할이라고 할 때 이해가 빠를 것이다. 그 숫자를 얼마만큼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느냐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차원 높은 물류센터의 운영이 이루어진다고 할 것이다. 물류를 운영하는 기업이 추구해야 할 목표는 바로 물류비용의 절감과 물류서비스의 향상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물류체계(물류수준)로는 Trade-Off관계에 의해서 양쪽의 향상을 가져올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물류의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장황하게 열거한 내용의 핵심은 바로 물류센터가 추구할 목표는 바로 물류비용의 절감과 물류서비스의 향상을 어떻게 하면 최대화할 수 있을까 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이것을 위해서는 물류 시스템의 도입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