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전문가시각] 그린아임스컨설팅 차덕선 대표 | ||
|---|---|---|---|
| 저자 | 출처 | 물류신문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0,720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6058 | 다운로드수 | 41 |
| 파일 | [전문가시각] 그린아임스컨설팅 차덕선 대표.doc | ||
| 요약 | |||
| 물류신문사의 월간 e-Logistics 2001년 10월호 [뉴스피플] 그린아임스컨설팅 차덕선 대표 기사는 물류업체들을 전문으로 ISO 인증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그린아임스컨설팅 차덕선 사장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물류업계의 ISO 인증 실태와 문제점, 바람직한 방향 등을 소개하고 있다. 98년 초 업계 최초로 육상운송, 항만하역, 특송운송 전부문에 ISO인증을 획득한 대한통운㈜과 해상, 항공, 육상운송, 복합운송, 택배운송 부문을 획득한 현대택배(주), 그리고 최근 제3자 물류부분 최초로 ISO 9001 개정판 인증을 획득한 (주)SK글로벌까지 ISO인증을 획득한 대다수의 물류기업이 그린아임스컨설팅의 자문을 받았다. ISO인증획득을 통해 기업은 외부적으로 자사의 품질경영시스템을 국제적으로 공인된 ISO인증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음으로써 대외 신임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업무의 표준화를 구축함으로써 시작은 ISO인증획득이 목표였지만 인증서 획득을 위한 여러 가지 과정의 검증을 거치면서 그동안 내부적으로 해 왔던 시스템, 과정, 매뉴얼 등 이번 기회에 잘못된 것들을 고치고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 더욱 큰 결실이다. ISO 인증의 개요는 이러하다. 구체적으로 만약 한 물류업체가 ISO인증을 받았다면 이 회사는 최초 고객과의 계약에서부터 시작해서 고객에게의 서비스, 그리고 마지막 사후점검까지 모든 과정에 어느 누가 와서 작업하더라도 항상 높은 수준의 똑같은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을 정도로 서비스가 표준화, 조직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KS마크가 표준규격으로 인정받는 것처럼 ISO 인증은 국제적인 표준으로 인정받는 보증서인 셈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