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실무정보] 바코드의 역사와 종류
저자 출처 물류신문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35,840 Byte / .doc 가격 0
조회수 6503 다운로드수 53
파일 [실무정보] 바코드의 역사와 종류.doc
요약
물류신문사의 월간 e-Logistics 2002년 11월호 [실무정보] 바코드의 역사와 종류 기사는 자동인식산업 전문업체 ㈜현암바씨스www.hyunam.com)의 이현수 부장이 제공한 것으로 바코드에 대한 기초지식과 바코드의 역사, 그리고 바코드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현재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많은 기업체 및 개인사업자들이 제품의 납품 및 보관시 바코드를 부착하여 널리 활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요구도 일반화되고 있다.
바코드는 다양한 폭을 가진 검은바(BAR, 막대)와 흰바(space,막대)를 조합 배열하여 정보를 표현하는 부호 또는 부호체계이며 이는 모르스 부호(Morse Code)가 도트(Dot ; ·)와 대시(Dash; -)의 배열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유사하다.
바코드로 정보를 표현하는 일과 표현된 정보를 해독하는 일은 바코드 장비를 통하여 가능하므로 바코드는 기계어(Machine Language)라고 할 수 있다.
바와 스페이스는 그 폭에 따라 1개 또는 복수개의 이진수 비트(Binary Bit : 0 또는 1)로 바뀌게 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ASCII 문자를 표현한다.
국내에서도 1988년 EAN에 정식으로 가입하여 KAN(Korean Article Number)코드를 취득하면서 본격적인 바코드 시스템 체계를 세우게 되었다.
현재는 많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Barcode의 필요, ON LINE 데이터의 OFF LINE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점을 수용하기 어려운 선형 바코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2차원(2D) 바코드가 등장하게 되었고 현재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