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논문브리프] 동대문 의류시장 물류특성 연구 | ||
|---|---|---|---|
| 저자 | 김정하 | 출처 | 물류신문 |
| 발간일 | 1999-12-08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6,864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6620 | 다운로드수 | 59 |
| 파일 | [논문브리프] 동대문 의류시장 물류특성 연구.doc | ||
| 요약 | |||
| 물류신문에 실렸던 김정하 서울시 교통전문위원의 논문 '동대문 의류시장 물류특성 연구'의 요약자료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상업활동은 인간의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며 그 지역의 가장 기본적인 경제활동이다. 상업기능이 수행되는 도시내 상업활동의 공간은 분리되어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켜 주는 장소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지가와 같은 기타 간접비용의 지출이 많은 지역이나 교통문제 등으로 인한 규모의 비경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심 상업지역중 의류를 중심으로 한 판매기능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대문 의류시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대문 의류시장은 전통적으로 의류의 생산, 판매기능이 발달했던 지역으로 현재 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의류의 판매기능이 전문화된 대형 의류전문상가들이 들어서고 있으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의류의 유통기능을 특화시키기 위해 대형 의류전문상가의 신설이 계속될 예정이다. 따라서 동대문 의류시장 지역을 중심으로 한 화물 물동량의 증가와 화물차량 및 방문차량의 증가로 인한 지역 혼잡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물류혼잡을 일으키고 있는 이와같은 도심 상업지역의 물류인구는 현재 시작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연구들은 대부분 상업지역을 유출입하는 물동량의 유통구조적 측면과 물동량 자체 특성의 고려없이 화물물동량의 양적 측면과 상업지역내 교통혼잡 완화에 초점을 두고 하역공간 확충과 교차로 개선 등을 통한 교통흐름 효율화의 측면에서 물류체계의 개선안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통측면이 강조된 물류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동대문 의류시장을 유출입하는 물동량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의류를 대상으로 하였고, 유통구조와 수송구조의 2가지 측면에서 분석, 각각의 관점에서 본 물류체계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동대문 의류시장을 중심으로 한 지역물류시스템 구축에 초점을 두고 동대문 의류시장을 유출입하는 의류의 유통구조와 유출입차량의 수송구조가 반영된 물류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동대문 의류시장과 같이 전문화된 상업지역의 물류연구 및 개선사업을 수행하는 경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