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논문 브리프]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
|---|---|---|---|
| 저자 | 박영재 | 출처 | 물류신문 |
| 발간일 | 1999-02-17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8,640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6989 | 다운로드수 | 45 |
| 파일 | [논문 브리프]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doc | ||
| 요약 | |||
이 자료는 박영재 한진물류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물류신문사에 제공해 브리프로 연재했던 논문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요약본이다. 박영재/한진물류연구원 선임연구원 국제 물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수송수단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국제물류비용에서 가장 많은 부문을 차지하는 것이 수송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수송수단을 선택하는가 하는 점은 작게는 물류효율화를, 크게는 물류경쟁력-국제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번호부터 다수에 걸쳐 소개될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논문은 그러한 관점에서 어떠한 수송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가 하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실제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이 어떤 요인에 의해 수송수단을 선택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뤄지고 있어 자못 흥미롭다. 제1장 서론 세계 경제질서는 다자주의와 지역주의의 대립 속에서 새로운 균형을 추구하며, 각국간 교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미 국적을 초월한 초국적 기업이 출현하여 지구촌을 대상으로 생산 및 판매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분야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기업활동의 국제화와 제품 생산체제의 변화 및 제품 수명주기의 단축은 국제물류활동의 변화와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업의 경쟁력 강화 요소로서 국제물류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국제물류는 발생 비용의 규모가 국내활동의 경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기업의 국제화·다국적화가 진전될수록 그 전략적 가치가 크며, 해외직접투자에 따른 현지 생산증대에 의한 제품수입 및 국제분업이 보다 구체화될수록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국제물류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것이 국제수송과 이에 수반되는 재고에 대한 체계적 관리이다. 왜냐하면 국제물류비용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이 수송비이며, 다음이 보관관련 비용, 즉 재고비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국내물류에 비해 수송거리가 길고, 재고율을 높게 가져가야 하는 국제물류에서 수송과 재고문제는 국제물류 효율화의 관건이기도 하다. 수송과 재고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대한 계량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즉, 국제간 수송에서 수송수단 선택이 단순히 수송을 위한 차원에서가 아니라 전체 물류시스템에서 어느 수송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물류 효율화를 꾀하고 물류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가의 차원에서 수송수단 선택 문제를 접근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수출입 기업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국제수송수단 선택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국제수송수단 선택 요인을 고찰하고,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따른 물류경쟁력 비교를 통해 어떠한 수송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적인지 살펴본 다음 우리 나라 수출입 기업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수송수단을 선택하고 있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제2장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국제수송의 특성 국제간 제품의 이동에서 이용되는 기본 수송수단에는 항공, 철도, 트럭, 해상 등 4가지가 있으며, 국제수송에는 보통 이러한 수송수단들이 복합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리적·정치적 이유 때문에 철도와 트럭에 의한 국제수송은 이루어지지 않고 해상 또는 항공 수송만 이루어지므로 다음에서 항공과 해상수송을 중심으로 각 수송의 특성을 비교하기로 한다. 국제물류에서 일반적으로 항공을 수송집약·재고절약형 산업으로 부르고, 해운을 재고집약·수송절약형 산업으로 부른다. 항공은 수송 요소에 많은 비용을 투입하여 수송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수송자체에 재고 프로세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독립된 재고 프로세스가 단축된다. 해운업의 분야에서도 이 경향은 재래 정기선 수송에 비해 컨테이너 정기선 수송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수송은 수송비가 높으나 이를 재고비의 절감으로 보충함으로써 총물류비를 낮추게 된다. 즉, 국제물류서비스에서 항공 서비스 이용을 기본으로 할 경우 운임부담율은 상승하나 이를 상회하는 재고비의 절감으로 총비용을 낮춤으로써 항공 수송을 기본으로 하는 물류 서비스 수요를 유발시킨다. 항공으로 수송되는 주요 제품으로는 소량화물, 부패성화물, 제품의 민감도가 높은 화물, 긴급성 화물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항공수송 제품은 경량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화물과 시간가치가 높은 화물이 많다. 항공운송은 속도가 빠르고, 화물의 손상이나 도난이 적고, 리드 타임이 단축되고, 재고 유지비가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항공수송의 이용은 포장비, 보험료, 창고비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통관 후 트럭으로의 신속한 연계 수송이 가능하다. 해상 컨테이너 수송은 극히 수송집약적인 항공 수송과 극히 재고집약적인 재래정기선 수송사이의 영역에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정기선 수송은 재래 정기선 수송에 비하여 수송집약적이라 할 수 있지만 항공 수송과 비교하면 재고집약적으로 있다. 해상수송은 가장 경제적인 수송 방법으로서 신속성을 요하지 않은 대량화물의 장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이는 수송비가 저렴하고 적재율이 높아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상수송은 항공수송에 비해 수송시간이 많이 걸리고, 장기간 수송으로 인해 화물의 손실 가능성이 높으며, 파업이나 적체에 의해 화물의 수송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2. 국제수송수단 선택 요인 국제수송수단의 선택은 화물의 특성, 가치, 물량 등의 요인에 따라 해상 또는 항공으로의 명확한 구분이 되어 이루어지는가 하면, 기업의 경영전략, 물류전략 등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지기도 한다. Fawcett는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운송할 화물의 상태, 수량, 긴급성, 가치, 시장 상황 등 5가지 요인을 제시하였으며, Lambert는 제품과 관련된 요인과 시장과 관련된 요인 등 크게 2가지로 분류하였다. Lambert가 분류한 제품특성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제품의 밀도, 적재의 적합성, 취급의 용이성, 운임 부담력 등이 있으며, 시장과 관련된 요인은 수송수단간 경쟁의 정도, 시장의 위치, 정부규제의 정도, 인바운드 화물과 아웃바운드 화물간의 균형 정도, 제품 수송의 계절성 등이 있다. 또한 Slater는 수송수단 선택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러한 요인들은 크게 경영적 요인, 수송수단의 특성, 경로 상황 등 3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였으며, Branch는 국제수송수단의 선택기준으로 제품의 성질, 포장 및 비용의 정도, 수송과 관련하여 부과되는 법적의무, 수출입국의 이용가능 수송제도, 운송사의 이미지, 이용가능 수송서비스의 적합성, 수송시간 및 긴급성, 화물의 수량 및 선적 기한, 수출계약 조건 등을 들고 있다. 이 밖에도 Sherlock은 제품의 목적지, 제품의 특성, 수송속도, 비용 등이 수송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Pooler는 바람직한 수송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필요 시기, 운임, 보험료, 선적 크기 및 무게, 제품의 가치, 양륙지 및 목적지, 손상 가능성, 도난 가능성, 이용 장비, 그리고 관련 서류의 작성 등에 대해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수송수단 선택시 고려 요인 또는 수송수단 선택을 결정하는 요인은 학자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분류되고 있으나 실제로 수송수단 선택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시간과 비용이라 할 수 있다. 제품의 특성 또는 가치에 따라 수송비용에 대한 부담 능력이 달라지며, 기업의 물류전략 또는 시장 상황에 따라 수송시간의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수송수단이 선택되므로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은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고려되는 가장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3. 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주요 연구 모형 수송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모형은 시대 및 학자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분류되어 왔다. 대표적인 수송수단 선택 모형으로 Liberatore, Cunningham, McGinnis 등이 제시한 모형을 살펴보기로 한다. Liberatore는 수송수단 선택 모형을 記述的 模型(descriptive model)과 規範的 模型(normative model)으로 분류하였다. 즉, 수송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기술적 모형으로 분류하였고, 수송에 따른 비용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규범적 모형으로 분류하였다. 기술적 모형은 연구 수행시에 集計 資料(aggregate data) 또는 非集計 資料(disaggregate data)를 이용하고 있는데 집계자료는 수송 센서스(census) 등을 통해 구하며, 비집계 자료는 주로 조사(survey)를 통해 구하고 있다. 규범적 모형은 직접 수송비, 수송중 비용, 주문비, 재고비 등 총비용이 가장 낮은 수송수단이 선택된다는 이론으로 화주는 총비용이 가장 낮은 수송수단을 선택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Cunningham은 수송수단 선택 모형을 傳統的 接近法(traditional approach), 顯示的 選好度 接近法(revealed preference approach), 行動 模型(behavioral model), 在庫理論 模型(inventory-theoretic model) 등 4가지로 분류하였다. 전통적 접근법은 수송수단간 비용 수준에 따라 수송수단의 선택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으로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수송자원을 최적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으며, 선호도 접근법은 교통 통계에 나타난 수송수단별 수송실적을 근거로 하여 실제로 화주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수송수단을 선택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전통적 접근법과 선호도 접근법은 주로 수송수단간 경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화주의 수송수단 선택 결정에 대한 평가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행동 모형은 수송수단 선택에서 의사결정자의 인식이 주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 모형으로서 의사결정자의 인식 또는 편견이 수송수단의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재고이론 모형은 수송에서 재고를 고려해야 한다는 이론으로 최적 수송수단의 선택은 단순히 가장 낮은 비용 선택을 결정하는 문제라는 가정에서 출발하고 있다. McGinnis는 古典 經濟學的 模型(classical economic model), 在庫理論 模型(inventory-theoretic model), 트레이드 오프 模型(trade-off model), 制限的 最適化 模型(constrained optimization model) 등 4가지로 수송수단 선택 모형을 구분하였다. McGinnis는 Cunningham이 수송수단 선택 모형으로 분류한 행동 모형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으나 재고이론 모형 이후 체계화된 트레이드 오프(trade-off) 모형과 제한적 최적화 모형을 포함시켰다. 트레이드 오프 모형은 수송비와 수송외적 비용의 합이 최소화되는 수송수단이 선택된다는 이론으로서 수송수단 선택 과정에서 수송외적 비용이 중요한 고려대상임을 밝히고 있다. 제한적 최적화 모형은 수송수단 선택 과정이 수송외적 비용의 제약에 따른 수송비용을 최적화하는 제한적 최적화 과정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주로 비용과 비용외적 요인과의 상호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제3장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따른 물류경쟁력 비교 분석 1. 물류경쟁력 비교를 위한 적용 모형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따른 물류경쟁력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총비용 접근 방법을 사용하기로 한다. 총비용 접근은 물류개선에 요구되는 모든 비용중에서 각 비용의 부분적인 절감이 아닌 비용의 총액을 어떻게 절감할 것인가를 목적으로 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총비용 접근에 의한 총물류비 모형은 이론상 재고비와 수송비와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재고이론 모형과 큰 차이가 없으나 수송비와 재고비 이외에도 수송 수단에 따라 발생하는 보험료, 포장비 등과 같은 비용에 대한 상관관계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총물류비 모형은 화물의 선적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총물류비를 계산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총물류비의 주요 결정요소는 선적 크기인데 선적 크기는 수송비와 재고유지비와의 트레이드 오프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재고유지비에는 재고로 묶여 있는 자본금의 기회비용, 재고서비스 및 취급비, 창고비, 기타 리스크 관련 비용 등이 포함된다. 수송비와 재고유지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는 고정비와 재고비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와 비슷하다. 만약 선적 크기가 크면 재고비가 높고, 수송비가 낮은 반면, 선적 크기가 작으면 재고비가 낮으나 수송비는 높다. 따라서 총물류비 모형에 의해 국제수송수단을 선택할 경우 고려해야 할 요소로는 운임, 수송경로상의 재고유지비용, 물류센터에서의 안전재고 비용, 수송경로상의 재고유지분에 상당하는 제품생산을 위해 소요되는 투자비용, 보험료, 기타 비용 등이 있다. 2. 물류경쟁력의 실증적 비교 항공과 해상수송의 물류경쟁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서는 적정품목과 출발 및 도착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품목의 경우 너무 고가이거나 저가인 경우 항공 또는 해상수송의 특성을 편향되게 갖기 때문에 계량적 분석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에 적합한 화물로서 컴퓨터 모니터와 의류를 선정하였다. 컴퓨터 모니터는 17인치로 중량 22kg/box, 체적 0.15CBM/box, 단가 US$300/box, 박스당 적재수량 1pc/box이며, 의류는 고가의 니트제품으로 중량 13kg/box, 체적 0.1CBM/box, 단가 US$500/box, 박스당 적재수량 24pcs/box이다. 이들 제품의 출발지는 서울의 구로공단이며, 도착지는 스위스의 취리히로서 수송기간은 항공수송의 경우 3일이 걸리고, 해상수송은 36일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모니터와 의류에 대한 총물류비의 분석 결과 의류에 비해 제품의 단가가 낮은 컴퓨터 모니터는 항공수송보다 해상수송이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류는 이와 다르게 나타났다. 의류의 경우 10박스를 수송할 경우 항공수송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박스 이상의 수송에서도 항공수송과 해상수송의 총물류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국제수송수단 선택에 따른 물류경쟁력 비교 분석 결과 제품의 가치와 수송 물량에 따라 해상 및 항공수송의 비용우위가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출입 기업이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총물류비를 충분히 분석한다면 물류 효율화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따라서 수출입 기업이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기존의 관행이나 단순 운임 비교에 따른 수단 선택을 지양하고 총물류비에 따른 수송수단 선택을 지향할 때 기업의 경쟁력은 보다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