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기획] 국내 택배시장의 오늘 - 모바일솔루션
저자 출처 물류신문
발간일 2002-07-03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35,328 Byte / .doc 가격 0
조회수 5932 다운로드수 52
파일 [기획] 국내 택배시장의 오늘 - 모바일솔루션.doc
요약
최근 이동통신 및 개인 휴대단말기 등의 보급 확대에 따라 기업들도 모바일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택배사들이 통합물류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물류업계에서는 대형물류회사를 중심으로 택배사와 수요자를 연계하는 통합물류시스템은 기업들이 본사와 현장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발빠른 고객 대응으로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함으로써 기업 생존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모바일 비즈니스는 기존의 e비즈니스와 무선 인터넷이 결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거래 및 기업의 제반 구가가치 창출 활동을 의미한다.
KRG가 국내 260여개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2002년 국내 기업용 모바일 시스템도입 현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2년까지 11.4%의 기업 및 공공기관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기업용 모바일 루션을 도입했다. 또한 24.1%의 기업이 향후 1~2년 내에 모바일 솔루션을 구축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제종 및 유통ㆍ물류, 보험 등 기업용 모바일 솔루션 도입에 적극적인 이유는 현장근무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거나 업무를 할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과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고, 고객 만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기업용 모바일 솔루션을 도입할 예정인 기업도 물류ㆍ유통 업종이 37.9%, 2차 제조 업종이 32.1%, 1차 제조 업이 19.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들 수요가 기업용 모바일 솔루션 시장에 활발히 나설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환경의 급변화로 온라인 물류통합시스템은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가장 중요한 필수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올해는 물류업계에도 택배사와 수요자를 연계시키는 기업용 모바일 솔루션 시장에 선점해 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혁신적인 물류택배비의 절감을 모색할 전망이다. 이에 SI업체들이 모바일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택배사와 사업자를 연계한 HUB터미널, 노선, 지사를 웹기반의 메인시스템에서 통합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솔루션을 제공하여 배송물량통합 DB, 배송의뢰 및 추적솔루션, 물류관리 솔루션, 반송, 반품관리 및 노선차량 관리, 정산 관리 솔루션 등을 통합제공하는 데 강화하고 있다.또한 모바일오피스 사업에 집중적으로 공략을 한다는 방침아래. 영업자동화, 현장자동화 등의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무선 솔루션 PDA 전문업체들은 무선통신업체, 무선솔루션업체, 단말기제조업체 등 다양한 협력관게를 기반으로 택배, 물류, 금융 등 모바일 환경으로의 사업전환을 적극 추진한다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이를 통해 SFA, CRM, KMS, 운송, 재고관리 등 기업의 모슨 전산시스템을 모바일 환경에서 활용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에 따라모바일 PDA를 활용한 온라인 추적서비스 및 공동배차 시스템의 구축은 다양한 택배 서비스를 소비에게 제공하게 할 것이다. <정선효 기자, nothing@kl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