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정책기능 구심점 만들자”

일관된 정책수행, 합리적 투자 안돼
전문물류교육 시행 환경조성 서둘러야
국내 물류표준의 글로벌표준화도 과제

우리나라의 물류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일까? 윤문규 한국로지스틱스학회 회장(순천향대 경영학과 교수)은 ‘물류정책 수립·집행의 구심점 부재’를 최대 걸림돌중 하나로 꼽았다. 구심점 부재는 일관된 물류정책의 시행을 불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합리적인 물류투자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교육자인 윤 회장은 물류전문교육에 대한 관심도 남다르다. 그는 열악한 물류전문인력 양성 환경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과제로 보고 있다.

‘동북아 Biz중심국’부터 돼야

‘동북아 물류중심국’이 되기에 앞서 ‘동북아 Biz 중심국’부터 되어야 한다는 것이 윤 회장의 지론이다.
그는 싱가포르가 세계적 물류Hub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물류중심이 되기 전에 글로벌 다국적기업들을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었음을 예로 들면서 “무역, 금융업종부터 끌어들여 야만 세계적 물류기업들이 한반도를 ‘물류Hub로 활용할만 한 곳’으로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활발한 무역, 금융 활동이 물류산업의 터전이라는 의미다.
이번 릴레이 인터뷰에서 물류전문가와 물류업계 최고경영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설파하고 있는 바는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중심이 되기에 최적의 地經學的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투자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윤 회장 역시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2, 3시간 비행거리내에 인구 100만명 이상의 초대형도시 42개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 남북 연결철로와 대륙횡단철도가 연결되었을 때 한반도가 新물류 역사의 중심에 서게 될 것이란 점 등을 언급하면서 “요는 정부가 물류인프라에 얼마나 투자할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강조한다.
특히 그는 육·해·공을 연결하는 시스템 구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는 지리적 위치로나, 보유자원 등으로 볼 때 별 것 없어 보이는 네덜란드가 유럽관문으로서의 위상을 굳힐 수 있었던 것은 ‘완벽한 육·해·공 연계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었다면서 이를 위한 인프라 투자만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중국의 상해, 홍콩 등이 만만치 않은 경쟁상대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가 동북아의 물류Hub가 될 가능성은 높다고 단언한다.

대통령·총리 직속기구 시급

“우리나라의 물류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물류정책 수립, 시행의 구심점을 찾아야 한다.”
윤 회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물류정책의 몰골은 산자부, 건교부, 해양부, 농림부 등 각 부처가 ‘우리는 우리대로 해 나간다’며 제 길 가기에만 바쁜 형상이다.”면서 구심점 부재를 가슴 아파한다. 물류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여기에 원인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우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절뚝거리는 동안 중국은 상해 등지를 글로벌 물류거점화하기 위해 국가적 총력을 쏟아 붓고 있다”면서 국가적 지향점이 ‘동북아 물류중심’이면서도 힘이 그 지향점을 향해 모아지지 않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안타까워 한다.
과거 경제기획원 시절에는 가능했을까? 윤 회장은 ‘어느정도 가능했다’고 본다. 현재의 행정조직체계를 바꾸자는 의미가 담겨있는 것은 아니다. 일관성 있는 물류정책이 수립되고 집행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자는 뜻이다. 이런 측면에서 그의 제안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통령 직속기구, 적어도 총리 산하기구 수준의 가칭 물류발전기구협의회쯤은 있어야 한다’는 것이 윤 교수의 제안이다.

과감한 물류교육 투자 있어야

우리나라의 물류 역사는 짧다. 반만년 역사 동안 물류활동이 없었다거나 물류산업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아니다. 21세기적 개념의 물류史가 일천하다는 얘기다. 이는 물류전문가집단이 형성될만한 시간이 없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윤 교수도 우리나라의 전반적 Logistics Power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이유를 전문인력 부족에서 찾는다.
그는 “무엇보다 ‘사람키우기’가 중요하다.”면서 과감한 교육투자를 통해 부족한 물류 전문기관도 확대하고, 물류서비스 현장인력은 물론 물류기업 CEO들의 교육기회를 대폭 늘려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윤 교수는 물류전문인력 양성과 관련, 두가지의 문제를 지적한다. 하나는 수도권 정원제도에 묶여 수도권 대학교에 물류학과가 존재할 수 없다는 점. (수도권집중현상 해소라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제대로 교육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얘기다.
또 하나는 시도 때도 없이 교체되는 물류관련 공무원. 윤 교수는 “물류의 중요성을 안다면 물류담당 공무원을 준전문가로 만들 수 있는 체계로 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소한 3년 텀의 로테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윤 교수의 주장이다. ‘알아야 면장한다’는 말이 있듯 물류담당 공무원이 전문가가 되어야 기업을 리드해 나갈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
그는 질적교육을 위해 ‘물류사관학교’ 같은 것의 설립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일부 물류서비스는 24시간 풀 가동 서비스로 3교대 인력 투입이 불가피하다. 그만큼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윤 회장은 “한국로지스틱스대상 업체 선정을 위해 현장실사를 해본 결과, 많은 업체들이 사람이 없어 쩔쩔매고 있더라.”면서 “젊은 사람들이 물류업을 3D업종으로 인식하고 있는데다 종사자들 역시 ‘아르바이트’하듯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웠다.”고 말한다.
물류업종, 특히 물류서비스 현장업무를 어떻게 매력화할 것인가가 물류기업들의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숙제 중 하나일 것이다. 정부도 관심을 갖고 어떤 형태로든 지원책을 강구해야 할 부분이기도 하다.

물류센터의 공동화 필요

국내 물류의 공동화는 진척속도가 상당히 느리다. 윤 회장은 물류센터의 공동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기업들의 인식전환을 주문한다.
윤 회장은 “우리 기업들이 너도 나도 물류센터를 짓고는 있지만 사실 물류를 위한 물류센터라기 보다는 부동산 투자 목적으로 지어진 물류센터가 많다.”고 꼬집는다.
그의 이 같은 꼬집음에서 물류센터 공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자체 화물 보관용, 자체화물 수배송용인데다 부동산 투자용이니 난립할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거기에 ‘공동화’라는 개념이 자리잡는다는 것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윤 회장은 “판매는 경쟁이지만 물류는 공동이라고 한다. 전 국토에 난립해 있는 물류센터를 공동물류센터로 집약시킨다면 물류효율성 제고는 물론 비용절감 효과가 클 것”이라고 강조한다.
정부도 물류센터 공동화사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물론 공동물류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나선 주체가 他목적, 예를 들면 부동산 투지목적으로 이를 전용치 않도록 하는 심사기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윤 회장은 물류표준화에 대해 융통성 있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도 물류표준화에 대한 인식에 제고되어 가고 있으며, 정부의 물류표준화 작업도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한다. 다만 표준화가 획일화가 되어서는 안되며, 그럴 수도 없다는 인식인 것이다.
그는 “산업현장에 가 본 결과 획일화된 표준을 적용하기 힘든 분야가 많았다.”면서 화장품이면 화장품, 농산물이면 농산물, 화학제품이면 화학제품, 가구면 가구 나름대로의 유니트로드시스템이 있을 수 있으며 업종별, 화물 아이템별로 물류표준화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고 덧붙인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의 물류표준이 글로벌 물류표준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기업경영과 물류가 글로벌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물류표준이 국제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경쟁력 약화를 의미한다.

“물류力은 네트워크 파워”

네트워크 파워가 곧 물류의 힘이다. 윤 회장은 국내기업들도 경영환경의 글로벌화에 발맞춰 인프라의 글로벌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국내에서도 입지도 중요하듯 국제시장 진출에 있어 ‘어디를 물류거점으로 잡을 것인갗도 중요하다.”면서 글로벌 물류 거점화에 신경 쓸 것으로 주문한다.
글로벌 물류 거점화는 경영자의 안목이 세계화되어야 가능하다. 또한 물류인력도 국제화시대가 요구하는 인력이어야 한다.
네트워크 파워와 관련, 윤 회장은 우리나라가 IT 강국이란 점에서 Logistics Power를 키위기에 유리한 입장에 있다고 본다. IT가 21세기형 네트워크 구축의 핵심이요, 네트워크가 곧 물류의 힘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류力을 키우려면 물류거점 등 하드웨어적 네트워크의 구축과 함께 IT를 접목시킨 정보와 서비스의 시스템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