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채 전환 두고 양측 입장차 커

HMM 매각 1차 협상결과 발표가 전격 연기됐다.

M&A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HMM 매각 1차 협상 마감기한을 23일에서 2월 6일로 옮겼다. 기한이 2주 연장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협상대상자인 하림과 의견 조율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M&A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해진공과 하림그룹·JKL파트너스 컨소시엄 간 입장 차이의 핵심은 영구채 주식 전환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림이 HMM을 인수하더라도 산업은행과 해진공이 보유 중인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32.8%의 지분을 갖게 된다. 반면 하림의 지분 비중은 38.9%로 하락하게 되어 경영권을 위협받게 된다. 

하림은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영구채 주식 전환 완료 시기를 최대한 늦추는 방안을 원하고 있으나 산업은행과 해진공은 영구채 주식 전환은 필연적이며 HMM은 혈세가 투입된 기업인만큼 올바른 경영을 위한 견제 역할은 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HMM 매각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았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해운시황이 개선됐고, 그동안 투입된 공적자금으로 HMM의 경영환경에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자 산업은행과 해진공이 HMM 경영권을 너무 오랫동안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고 적절한 시기를 보고 있다는 해명 아닌 해명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협상이 시작된 뒤 하림이 영구채의 주식 전환 시기를 3년 뒤로 유예해줄 것과 주주 간 유효 계약 기간을 5년으로 제한해달라고 요구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인수 자금 마련 방안과 HMM의 자산 활용 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협상 기한이 연장된 이유 중 하나로 산업은행과 해진공이 업계의 우려에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해운업계에서는 최대 국적선사라는 상징적인 의미와 함께 수출입 등 국내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들어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HMM해원노조와 HMM육상노조는 최근 관련 토론회를 잇따라 개최해 문제점을 지적하고 매각 절차의 투명성 보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노조는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은 채 매각이 성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파업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