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모빌리티 특화도시 공모사업’ 본격 추진 

‘최근 신도시에 새로이 터전을 마련한 A씨. 어제 주문했던 과일이 무인배송로봇에 담겨 A씨 집 앞에 도착했다는 알림을 받았다. 든든한 아침식사를 마치고 출근길에 나선 A씨의 눈 앞에는 자율주행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줄을 이어 대기하고 있다.’ 

어린 시절 미래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라고 상상했을 때 등장할 법한 이러한 일상이 이제 곧 우리에게 다가온다. 사람이 아닌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혁신 모빌리티를 도입하기 위해 정부가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계획에 본격 착수했다. 

국토부 중심의 ‘미래모빌리티도시’ 조성 
국토교통부는 이달 초, 미래모빌리티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모빌리티 특화도시 공모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토부가 정의하는 미래모빌리티도시란 자율주행,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 등 다양한 혁신 모빌리티 수단이 도심 내에 녹아들어 일상에 적용된 도시를 의미한다. 

이번 공모사업은 무엇보다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하나는 신규도시의 도시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형태의 ‘미래모빌리티도시형’이고 다른 하나는 기존도시의 모빌리티 혁신 사업을 지원하는 형태의 ‘모빌리티 혁신 지원형’이다. 먼저 ‘미래모빌리티도시형’은 도시 내 공간을 도시계획 시점부터 첨단모빌리티가 적용될 수 있는 거점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으로 신규도시 1개소에 대해 도시계획 수립비 최대 7억 원을 지원한다. ‘모빌리티 혁신 지원형’은 각 지역 여건에 맞게 특화된 첨단 모빌리티 기술을 도입, 이동성이 최적화된 도시로 전환하는 내용으로 기존도시 2개소에 국비 최대 연 10억 원, 최대 2년간 지원한다. 

올해 처음으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오는 8월 4일까지 8주간의 공모를 통해 지자체의 신청을 받은 후 서면 및 발표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8월 말,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정부가 그리는 스마트 물류 기반 미래도시의 모습은?
정부는 도시 공간에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가 자리잡고, 이를 서비스하는 기업들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거점을 만들고자 하는 계획을 이미 지난해 9월,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통해 밝힌 바 있다. 당시 로드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부의 미래도시 플랜은 크게 3가지 스텝으로 정리된다. 

첫 번째 스텝은 오는 2025년까지 고정적인 형태의 자율주행 로봇을 도시 내에 자리잡게 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는 자율주행 주차 로봇이다. 도시 내에 있는 공영주차장에 자율주행 주차 로봇이 들어서게 되고 시민은 입고 구역에 차량을 두기만 하면 로봇이 자동으로 대신 주차해주는 시스템이다. 

두 번째 스텝은 오는 2028년까지 자율주행, UAM, 디지털 물류, 수요응답형 서비스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가 전면 적용될 ‘모빌리티 특화도시’를 수립하는 것이다. 앞에서 만났던 신도시에 입주한 A씨의 일상이 바로 이 도시에서 누릴 수 있는 대표적인 일상이다. ‘모빌리티 특화도시’에서는 도시 구축 계획부터 철저히 계산된 첨단 인프라가 자리잡고 있어 디지털 기반의 콜드체인 주문배송시설이나 보다 진일보한 자율주행 솔루션도 도시 내에서 만나볼 수 있게 된다. 

마지막 스텝은 오는 2040년 완성될 완전한 모빌리티 도시다. 이 곳에서는 모빌리티 특화도시에서 만나볼 수 있었던 자율주행이나 디지털 물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곳곳에 뻗어있는 지하물류망, 드론 환승센터, 자율주행 전문 도로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대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습을 갖출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물류업계 전문가는 이와 관련해 “최근 물류업계에서도 물류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내로봇은 물론 배송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무인 자율주행 배송로봇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장기적인 플랜 설정에 이어 본격적인 공모사업이 추진되는 만큼 물류업계에도 보다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솔루션들이 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