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면적 1만평 규모…연간 5,000만 건 처리 목표

2014년 항공화물업계를 뜨겁게 달군 화두 중 하나는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의 신축계획이었다. 김포공항에서 처리되는 화물의 상당부분을 인천공항에서 소화하겠다는 것이 관세청의 방침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계획이 실현되면 국내 특송화물의 통관처리 과정에 큰 변화가 오게 된다.

업계에 따르면 특송물류센터 설립 계획에 대한 공식적인 문서자료가 외부에 공개 또는 발표되는 일이 거의 없어 관계자들끼리 구두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그쳤다. 그러다  2014년 10월 인천공항세관이 세부 내용을 공식 발표하면서 수면위로 떠올랐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 신축은 최근 특송으로 처리되는 전자상거래 화물이 급증하면서 통관에 어려움이 커짐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확인한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의 신축계획과 업계 반응을 살펴봤다.

1월 중순에 첫 삽…2016년 4월 오픈 예정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가 거론된 시기는 2012년 1월경으로 알려졌으나 사업이 구체화된 것은 비교적 최근인 2013년부터다. 전자상거래 발달과 해외직구 열풍이 본격화되면서 특송물량이 더욱 증가하기 시작한 때이기도 하다. 국토교통부는 2013년 10월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2017년까지 항공물동량을 301만 톤으로 늘리고 고용효과 창출 등을 담은 ‘국제항공물류 강화방안’을 발표했는데, 여기에 특송물류센터 설립 계획도 포함되어있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의 전체 사업기간은 2013년 8월부터 2016년 3월(총 2년 8개월)까지로 예정되어있다. 2013년 8월을 개시 시기로 잡은 이유는 부지를 확정하고 설계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2014년 4월 부지 실시협약이 체결되었으며, 확정된 부지는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 부지(아시아나 화물터미널 인근)다. 11월에는 실시계획 승인과 설계가 완료됐으며, 시공사도 선정됐다.

계획상 시공 개시는 2014년 12월이었으나 해를 넘긴 2015년 1월 중순에나 첫 삽을 뜰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각종 인허가와 예산 배정문제로 다소 시간이 지체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설계와 건축, 통신 등 기본적인 설비 용역을 맡은 업체는 이미 선정이 완료된 상태이며, 자동분류시스템 제작과 설치를 담당할 업체도 1월에 선정될 예정이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최종 준공은 2016년 3월이며, 이때 자동분류시스템 설치도 완료된다. 센터 운영 개시는 4월부터 이루어지며, 자동분류시스템은 시범 운전을 통해 6월부터 본격 가동시킬 예정이다.

업계는 다소 시간이 지연된 점을 들어 실제 개장은 최대 3개월까지 늦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관세청 관계자는 “계획대로 잘 진행되고 있으며, 개장 시기를 계획보다 1개월 앞당길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 부지 위치도. 아시아나 화물터미널 근처 유휴부지에 신축될 예정이다(그래픽=윤지연).
엑스레이 설비 11대 설치…냉동냉장 보관공간도 마련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에 편성된 예산은 682억 원이다. 이 중 건축비가 441억 원이며, 통관에 반드시 필요한 자동분류시스템에는 241억 원이 사용된다.

부지 총 면적은 20,930㎡(약 6,331평), 건축면적은 15,630㎡(약 4,728평). 연면적은 35,643㎡(약 10,782평), 최고 높이는 19.8미터다.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지어지되, 업무용 건물은 4층, 창고 건물은 2층 구조다.

관세청은 연간 5,000만 건의 특송화물을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2014년 예상 물동량 2,200만 건을 초과하는 규모다. 관세청 관계자는 “최대 30~40개 특송업체가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특송화물 처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엑스레이 판독설비는 총 11대가 도입될 예정이다. 세관 관계자에 따르면 첨단 자동 엑스레이(The automatic X-Ray system) 설비 5대 대형 1대, 일반 6대(일반화물용 8대, 대형화물용 1대, 검사용 2대)를 설치해 신속한 통관을 지원할 계획이다. 

냉동냉장창고도 마련된다. 다만 세관에서 수요가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긴급하게 사용되는 약물이나, 바이오의약품 등 소량의 의약품과 관련 제품들을 소량 취급하는 수준으로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관리는 민간 업체가 맡을 듯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의 신축을 관할하는 조직은 관세청과 인천공항세관이다. 인천공항세관은 건축과 설비 설치 등의 과정에 관여하고, 관세청은 운영계획 등을 다루고 있다.

준공 후 관리는 민간 업체에서 맡게 된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의 운영, 즉 화물관리자를 선정하는 절차는 이르면 2015년 중순, 늦어도 연말에는 입찰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구체적인 운영계획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엑스레이 통합판독실과 CCTV 감시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특송업체 자체 시설 13개소에 세관직원을 배치한다는 계획은 마련됐다.

일부 김포 특송사들, 인천 이전 원치 않아
새 집을 지어준다고 하면 좋아할 일이지만, 어쩐 일인지 김포공항에 기반을 둔 적지 않은 특송사들은 탐탁지 않은 눈치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가 준공되면 김포공항을 떠와 인천으로 이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전의 배경은 관세법에 명시된 법적 근거에서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특송사가 자체시설에서 통관하기 위한 기준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김포세관에서 통관을 불허하기 때문에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준공 후)에서 화물을 처리해야 한다.

그러나 김포공항을 이용하는 특송사 중 상당수가 자격을 갖추지 못했으며, 투자여력도 없는 실정이다. 이들은 △인천공항보다 김포공항에서 통관을 처리하면 빅마켓인 서울까지 운송거리가 짧고, △김포공항에서의 업무가 능숙한 인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 대신 김포공항을 계속 이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입장이다.

여기에 자본력을 바탕으로 김포공항에 좋은 시설을 갖춘 일부 대형 특송사와 외국계 빅4는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로 이전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역차별이라는 논란도 있다.

이에 대해 관세청은 법적 근거가 명확한 만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포공항 시설을 폐쇄할 계획은 없으며, 특송물량의 증가에 따라 통관설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를 건축하는 것이라는 논리다. 실제로 대형 특송사가 아닌 영세 특송사에서는 낙후된 장비와 인력 부족으로 통관업무에 애로사항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며, 지연 문제로 인한 분쟁도 적지 않았다.

관세청 관계자는 “외국계와 국내 업체를 차별할 이유가 없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는 원하는 업체는 누구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인천공항세관 특송물류센터가 정식 명칭은 아니다. 일종의 특송화물 전용 지정장치장이다. 김포공항의 시설도 같은 역할”이라며 “김포는 엑스레이 설비가 부족하고, 공간이 좁아서 추가 설치도 어렵다. 따라서 신속한 통관을 위해 새로 증설하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특송사 관계자는 “김포에 있던 기반을 인천으로 옮기는 것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든다. 경기가 좋지 않아 국내 특송사들이 갈수록 영세해지고 있는데, 현실적인 지원은커녕 당장 비용이 더 들어갈 일만 나오니 답답하다”며 “김포공항의 입지도 중요하다. 관세청에서 좁다고만 할 것이 아니라 관련 설비를 증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특송사들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