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의 직장인 김O씨는 혼자 사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사건이 늘고 있다는 뉴스를 접한 이후 택배기사의 방문이 달갑지 않다. 두 자녀를 키우는 이○씨 역시 택배를 받기 전 택배기사의 소속회사와 이름 등을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

언제부턴가 택배 서비스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고 있다. 최근 3년간 20여 건의 택배기사·검침원을 사칭한 범죄가 발생하면서 ‘택배’는 이처럼 여성과 노약자에게 기피대상이 되고 있다.

택배 기사를 사칭한 범죄가 늘어나자 정부는 추석 등 명절 때가 되면 공개적으로 ‘택배 사칭’ 범죄를 조심하라는 경고를 발령하고, 지자체에서도 택배기사 사칭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주민센터 등에 택배보관함을 설치하기에 이르렀다.

급기야 지난 8월 13일에는 안전행정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가 모여 앞으로 ‘500세대 이상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에서는 택배기사를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택배를 수령할 수 있는 무인택배함의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의 ‘가정방문 서비스 안전대책’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런 대책만으로 문제가 모두 해결될 수 있을까? 택배업계와 전문가들은 택배에 대한 이미지 개선은 물론 수익성까지 높일 수 있는 해법을 ‘공동화’에서 찾아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택배 물량이 움직이는 서울시는 ‘택배 안심’과 ‘공동화’ 문제에 있어서 택배시장의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가장 많은 1인 가구, 가장 큰 대규모 아파트, 대규모 건물과 상가가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의 택배 물동량은 매출액기준으로 2001년 약 2,712억 원에서 2011년 2조 7,000여억 원으로 크게 성장했다. 서울의 택배업 종사자 수 또한 같은 기간 4,810명에서 29,234명으로 성장했다.

본지는 최근 서울시의 정책을 연구·조언하는 서울연구원이 작성한 워킹 페이퍼 ‘서울시 택배물류 공동화방안 연구’ 자료를 입수해 서울시 같은 대도시에서 가능한 ‘택배 공동화’ 모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PART 1. 서울시 택배물류 공동화사업 어떻게 추진되나?
PART 2. 국내외 사례로 본 택배물류 공동화사업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