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견된 택배 사회적 합의 파기 원인, ‘동상이몽’ 때문 

끝내 못 좁힌 감정적 이견차, 협의조정 못하면 고객불편 불가피

2021-01-27     손정우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잇단 택배현장의 과로 사고에 따른 노동환경 개선에 미봉책으로 겨우 사회적 합의 나섰던 택배현장이 끝내 좁히지 못한 감정적 이견차로 원점 회귀됨에 따라 향후 택배시장 불안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합의 파기 원인은 정부와 국회, 택배기업과 택배노동자 모두가 서로 다른 속내와 목적을 최종적으로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이에 따라 이번 택배산업의 사회적 합의 파기는 예견된 결과로 보인다.

당장 정부와 국회는 택배노조의 총파업 위협으로 시장 혼란만을 우려해 충분한 논의 없이 대단위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택배기업들에게 노동자들의 주장만을 담은 합의안 서명을 강행했다는 지적이다. 여기다 택배기업들 역시 노사정 사회적합의 논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상황과 전에 없던 택배화물의 분류인력 추가 투입에 따른 비용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한 의견과 대안을 개진하지 못한데 대한 내부 불만이 커진 것도 한 요인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전국택배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는 일선 생활물류시장의 혼란을 가져올 총파업이란 무기를 바로 코앞의 이익만을 얻기 위한 소탐대실의 전략만으로 강행, 무리수를 뒀다는 지적이다. 

결국 이번 택배시장에서의 사회적 합의 파기는 합의안에 서명한 관계자 모두 서로 다른 동상이몽이 가져온 당연한 결과란 평가다.  

한편 택배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한 1차 합의에 대해 택배노조는 긴급 심야회의를 열고 27일(수요일) 최종 대응방안을 내 놓기로 했다. 택배노조는 26일일 저녁 9시부터 약 2시간 동안 노조 간부와 지역 위원 등 30명이 참여하는 화상 회의를 열고 총파업을 포함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책위원회는 택배기업들이 각각의 지점과 영업점에 분류작업을 계속하라는 취지의 공문을 보냈으며, 이는 사측이 과로사 대책 합의문에 서명한지 5일 만에 합의를 어긴 것으로 26일 오전 이에 대한 대책 논의에 나섰다. 

택배노조의 합의 파기와 더불어 택배기업들의 의견을 대변하고 있는 한국통합물류협회 택배사업자위원회 배명순 실장은 “합의에 따라 약속했던 분류 인력을 설 전까지 투입하고, 택배 노동자가 분류 작업을 하면 수수료를 지급할 예정”이라며 “합의 파기는 노조의 일방적인 주장이며, 총파업에 나설 경우 별도의 대응엔 일체 나서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7일(수요일) 중으로 택배노조의 총파업이 결정되면 택배기업들은 노조의 결정에 별도 대응책 없이 각각의 택배기업들 별로 파업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한다는 결정이다.  

택배서비스를 시작한지 지난 30여 년 간 제대로 된 택배현장 총파업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전체 택배기사의 10%에도 못 미치는 택배기사 노조원들의 총파업이 과연 어느 정도의 시장 파급력으로 다가올지? 또 이번 사회적 합의 파기에 따른 후속 논의과정이 얼마나 심도 있게 노사간 이견을 좁힐지에 따라 향후 고객들의 불편 정도는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택배노조는 오늘(27일) 낮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여부 등 대응 방향을 밝힐 예정인 만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