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업계, '잉크도 안 마른' 사회적 합의 파열음…‘또 파업 위기’
대책위원회, “택배사 공문 통해 사실상 사회적 합의 파기” “지금이라도 사회적 합의 이행해야…파업에 돌입할 수 있어”
2021-01-26 석한글 기자
지난 21일, 택배 총파업을 앞두고 극적 합의를 했던 택배업계가 5일 만에 사회적 합의 내용 이행 갈등으로 다시 한번 위기에 맞았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26일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적 합의를 파기하는 택배사들을 엄중 규탄하며 중대 결심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책위원회는 기자화견에서 현재 각 택배사가 지점이나 영업점에서 사회적 합의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내용의 공문을 내려 사실상 사회적 합의를 파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문 내용에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분류인력(CJ대한통운 4,000명/롯데, 한진 각 1,000명)만 투입할 계획이 담겨 있으며 이 때문에 롯데택배, 한진택배 기사의 70% 이상은 여전히 분류작업을 해야 하며 대가도 지급받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 역시 자동화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터미널에서 분류작업을 택배노동자가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사회적 합의안 ▲2-1)택배기사의 기본업무는 집하, 배송으로 한다. ▲2-3)자동화설비가 설치되기 전까지는 분류인력을 투입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수수료를 지급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전면적으로 위배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원회는 “참으로 참담한 심정이며 택배현장은 하나도 바뀐 것이 없다”며 “사회적 합의를 파기하는 택배사들을 엄중 규탄하며 택배사가 지금이라도 사회적 합의 정신에 따라 사회적 합의를 제대로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며 이와 관련해 발생하는 문제는 택배사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