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자체 등 뒤늦게 대책마련에 총력

정부의 고유가대책발표 이후 화물연대 파업이 전국적으로 번지고 있다.

9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물류를 수행하는 화물연대 울산 현대 카캐리어분회 시작으로 10일 평택항, 부산항, 군산항을 비롯해 화물연대 광주지부까지 파업을 진행하는 곳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화물연대 울산지부 현대카캐리어분회는 운송료 35% 인상과 유가연동제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운송거부에 돌입했다.

화물연대 충남지부에서는 조합원 차량 300여대가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며 무기한 전면파업에 들어갔다. 화물연대 전북지부 또한 파업을 실시, 군산항의 물류 수송에 차질이 발생했다. 

군산항의 경우 군산지역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한솔CSN 등 7개 사업장 운송노조원들 800여명이 집단파업에 돌입했다. 이들은 각 분회별로 수차례에 걸쳐 화주와 운송료 협상을 벌였지만 서로간의 입장 차이가 커 결국 파업으로 이어졌다.

군산지역 운송업체관계자는 “화물연대가 10일 오전부터 본격적인 파업에 돌입하면서 군산지역의 원목과 펄프, 자동차 부품 운송이 거의 중단된 상태”라며, “이번 파업으로 물류 뿐 아니라 선박 하역작업 역시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충남지부(지부장 가창규)도 마찬가지. 충남지부는 지속된 협상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운송비 협상결렬로 인해 조합원 차량 300여대가 파업에 돌입한 상태다.

이로 인해 삼성토털, LG화학, 롯데유화 등 일부석유화학 등 일부 업체들이 곤혹을 치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화물연대 광주지부 또한 10일 조합원 총회를 개최 후 선별적으로 운송거부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파업이 진행됨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하주협의회 등도 대책 마련을 강구하고 나섰다.

정부는 10일 오후 4시 정부과천청사에서 국토해양부와 국방부, 노동부, 경찰청, 각 지방 해운항만청과 주요 물류기지 실무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화물연대 총파업에 따른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대체수송수단 확보방안에 대한 의견들이 집중적으로 논의 됐다.

비상수송 계획의 주요 골자는 화물연대 총파업에 대비해 100여대의 군용 컨테이너 트럭 확보한다는 것이다. 또한 화물연대 비조합원의 화물차량과 자가용 화물차를 영업용으로 허용하고 철도 및 연안 수송도 확대하기로 했다.

각 지자체와 기관도 화물연대 총 파업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느라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0일 오후 부산해양항만청에서는 국토해양부 이재균 차관이 참석, ‘육상화물 운송거부에 따른 부산항 비상항만운영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화물연대의 운송거부 돌입 시 부산해항청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각 기관 대표들이 참여하는 `부산지방 비상대책본부 및 비상수송위원회'를 구성, 운영키로 했다.

이재균 차관은 “수출입 관문인 부산항이 마비되면 국가 경제에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며, “총파업에 돌입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지만 만약 돌입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이 긴밀히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전남도 또한 화물연대 파업에 앞서 광양시에 비상수송대책 종합상황실을 구성하고 13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남도는 개인사업자 등 육상 운송허가 대상 차량명부를 작성, 대체 수송차량을 확보하고 이동을 막는 불법주차 차량에 대해 견인조치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광양항과 울산항만청 역시 10일 회의를 갖고 비상대책본부와 비상수송위원회를 구성함은 물론 비상연락망을 확보하는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