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항만은 과거 단순한 육상운송과 해상운송의 중계기지에서 화물의 배분, 유통, 가공까지를 담당하는 물류의 중심지로 변화하고 있다. 고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國富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항만은 화물의 선적과 하역을 하는 곳, 적체심화로 물류비 부담만 가중시키는 곳, 지역환경을 파괴하는 곳 등으로 인식되고 있을 뿐이다. 오래전에는 밀수의 거점, 폭력이 난무하는 불명예스러운 장소로 알려져 있기도 했다.
이제 우리 항만도 변해야 한다. 동북아의 물류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그 기능이 다각적이고 종합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는 국내 항만배후를 종합물류기지화한다는 장기전략을 내놓았다. 부품조립, 가공은 물론 국제전시, 보관, 집배송, 정보단지 등의 기능을 종합한 물류센터 기능을 갖추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후보지는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군장신항 등 4개지역. 시설규모는 부산지역의 경우 용당CY, 양산ICD, 재래부두 상옥시설 등을 포함 1백13만평, 수도권의 인천항의 경우는 경인운하 사토장 또는 인천 남.북항 매립지 93만평, 광양항은 배후지 2백만평, 군장항도 배후지 30만평 등이다.
이곳에는 전자, 컴퓨터 등 첨단업종의 부품조립, 가공기능과 국제상류와 국제물류의 One-Stop 서비스를 유도하는 국제전시 기능, 수요공급의 조정을 위한 장단기 보관활동을 제공하는 보관기능이 유치된다. 이와함께 화물의 포장, 라벨링, 검품, 집화, 분류 등을 제공하는 집배송센터 기능, 세계교역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제공, 국제교역과 항만관련업무를 지원하는 정보센터 기능 등이 들어선다. 물론 배후도시와의 기능적 조화도 고려사항.
해양부는 이를 위해 배후수송체계 구축, 자유무역지대 기능 도입, 항만 텔레포트화, 정책.제도적 지원 등 지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자유무역지대 기능이 도입되면 관세 및 각종 세금면제 혜택을 받게 되고 선박의 입출항 및 수출입화물의 처리절차가 간소화된다. 또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 금융, 보험, 무역, 유통 및 각종 물류관련 서비스 정보를 연계시킴으로써 항만의 종합정보 거점 기능이 촉진된다.
해양부는 올해중 주요 항만 물류기지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내년에 연차예산 등 세부계획을 마련해 99년 이후 본격적인 물류센터 건설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김성우 기자>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