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는 IMF체제하에서 해상물동량 증가추세의 둔화로 해운시장이 위축되고 항만수입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성장률이 3%대로 하락하면 항만수입은 1백15억원이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함께 화주의 부도와 하역요금의 어음결재 관행으로 해운항만업체들의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운영자금 경색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해외 금융경색으로 적기 선박확보가 어려울 전망이다. 해양부는 또 재원조달 곤란에 따른 항만신규투자 및 추진중인 항만사업의 적기 추진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따라 해양부는 단기적으로 노후.비경제선의 매각과 필수선박 확보를 통한 위기 극복책을 내놓았다. 해양부는 한진해운이 16척(2억1천3백만달러)의 선박매각으로 7천3백만달러의 매각이익을 보았다는 예를 들면서 선박, 부동산 등 보유자산 매각 등으로 긴급 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항만사업은 시급성과 민자 투자자의 능력을 고려해 착수시기를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부산신항, 목포신외항, 인천북항개발사업 등 민자사업자 지정이 완료된 사업은 가능한 계획대로 정부사업을 추진하고 새만금신항, 보령신항, 포항영일만신항, 울산신항은 착수시기 조정이나 사업기간 연장 등을 검토한다는 것.
이밖에도 부산항을 국제 선박급유(bunkering) 항만으로 육성해 외화수입을 늘린다는 방안도 내놓았다. 이미 지난해 12월 15일 통과선박에 대해 항만시설사용료를 감면해주고 전용 정박지를 지정 운영한 결과 14일 동안 56척의 통과선박이 부산항을 경유함으로써 4억원의 수입을 올렸다는 것이다.
해양부는 중장기대책으로 업체간 인수.합병, 해외지점 통폐합 등 구조조정을 적극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방안에서 연근해 국적외항업계의 구조조정 얘기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를 시행 불가능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의 행간을 읽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후.비경제선의 처분과 비수익항로 사업부문을 정리 등을 구체 방안으로 내놓았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