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산학연, 최적의 조화 이뤄야 사업성공 가능해

국토교통부가 실제 사업계획과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뒤 착수할 ‘고부가가치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은 향후 7년 동안 2,575억 원이 투자될 장기적이고도 국내 물류시장에서 전무후무한 대규모 기술개발사업이다. 이는 최고의 연주자들을 한자리에 모은 오케스트라가 최고의 관현악을 연주하기 위해 필요한 것처럼 각각의 사업부문에서 민관이 주도하고, 산학연의 지원이 최적의 조화를 이뤄야 가능한 사업인 셈이다.

문제는 거시적이고, 막대한 투자가 이뤄지는 사업의 경우 대부분 구체적인 사업진행 상황이 불투명하고, 실행력도 부족해 ‘용두사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다. 따라서 이번 사업계획을 접한 대부분의 관계자들은 “이번이야 말로 꼼꼼한 실행력을 기반으로 개발되는 기술 과정을 철저히 점검하고, 개발된 기술들은 물류산업 종사자뿐 아니라 관계 산업시장을 선도하고, 최종엔 국민 생활물류 편의성을 높이는 촉매와 기반사업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의 사업추진체계와 운영방안, 그리고 사업추진 전략을 점검해 보고, 최종 사업이후 기대 성과와 효과 등은 무엇인지 관련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정리해 봤다.

정부가 선봉, 전문위원회·운영위원회 사업 수행

이번 사업은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을 필두로 전문 위원회를 둬 사업추진 및 정책 개선방향등 향후 이번 사업을 통한 거버넌스 역할을 수행, 물류업계를 비롯해 기계, 정책, 정보 등 다양한 전문가들로 구성되는 산학연관 위원회를 구축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운영위원회는 전문기관이 요청한 사항에 대한 검토와 심의, 조정할 예정이다. 이후 사업단에서는 세부과제기획과 연차별 평가를 맡아 사업의 진도를 관리하는 한편 과제 간 예산 조종, 성과관리 및 사업화 등을 수행한다. 마지막 단계인 세부과제 수행기관은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 기술개발 수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계획으로만 보면 실행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문제는 얼마나 실행력을 강화하느냐에 있다.

사업회 설명회 후 토론회에 참석한 CJ대한통운 권구포 부장은 “제조업 기술들의 경우 365일 현장 적용이 가능하지만, 물류기술의 경우 현장 적용이 시간별로 차이가 있다”며 “이 때문에 ROI가 안 나와 정책적인 강제적용이 필요한 만큼 기술개발과 더불어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법적 강제성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사업의 추진전략은 CPCP로 요약된다. Commercialization의 C는 체계적 실용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번 사업이 실용화와 확산을 중시하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사업화 전략을 제시를 의미한다. 또 Policy의 P는 기술+정책+사회 경제 등이 삼위일체가 될 수 있는 문제 해결 형 기술개발 추진을 의미한다. 이는 공유경제와 공동물류 등 대중소 상행협력과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Competitiveness의 C는 미래 물류상을 반영한 파괴적이고 창의적인 기술개발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이에 따라 Competitiveness는 4차 산업혁명과 대응한 국내 기술의 해외진출기반이 될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People의 P는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하며, 유연한 물류서비스 제공으로 서비스 신뢰성을 제고할 예정이다. 또한 모든 기술개발이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친환경적인 물류활동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한다는 전략인 셈이다.

쿠팡의 김명규 물류정책실장은 “기술개발이 만능은 아닌 만큼 향후 사업진행에서 실증 과정을 거쳐 사업에 나서야 한다”며 “도심터미널 개발 확대도 지자체의 협조가 있어야 가능한 만큼 제도화에 앞서 충분한 협의가 사전에 이뤄져야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고 사업진행과 더불어 이에 대한 전략도 주문했다.

7천 억원 경제적 파급효과, 수많은 신규 일자리 창출해

2천 억원이 넘는 투자비와 7년간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완성되면 우리 물류서비스와 산업시장, 그리고 국민들의 생활물류환경은 어떻게 바뀔까?

이번 사업이 최종적으로 마무리되면 이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4,850억 원, 부가가치 유발은 2,091억 원 등 총 6,941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투자비 대비 약 2.7배의 경제적 이득이다. 또한 고용부문에서의 창출효과 역시 약 4,096명, 일자리 창출효과도 5,406명의 신규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 일자리는 고급 인력 충원이다. 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우선 기술적인 부분에선 물류 4.0 산업혁명을 선도하면서 기술의 국산화 및 글로벌 선도 기술개발로 국가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게 될 전망이다. 특히 IoT,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분야별 융합 기술 접목으로 신산업을 창출하고, 물류시설 및 장비 간의 정합성 제고로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국가차원의 표준기술 개발을 통한 기술 신뢰성 확보하게 된다.

경제 산업적 면에서 보면 혁신적 생산성제고와 신산업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국가물류비 절감 및 효율화를 통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물류 처리속도 향상, 시간단축 등으로 물류산업 현장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교통정체, 화물손실, 온실가스 감소 등 사회·환경·경제적 비용 절감하면서 물류산업 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는 한편 융복합 신규 물류서비스도 창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회 문화적인 부분에서는 물류종사자들의 근로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국민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높일 수 있다. 당장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물류서비스 품질이 향상되고, 환경/주민 친화적 공동물류 인프라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물류업의 3D 직종 인식을 탈피하고, 물류산업이 새로운 고용창출과 창업시장으로 확대되는 한편 고령화에 대비한 물류산업 인력난에도 적절히 대응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노동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전체 70만 여대의 화물자동차가 유발하는 생활쓰레기, 공기오염, 소음, 진동 감소도 이번 사업에서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다.

우아한 형제들의 이현재 이사는 “이번 사업계획은 잘 차려진 남도 한정식 같다”며 “기술 하나나 하나가 맛있는 반찬이지만 전체 밥상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보기만 좋은 한끼 식사가 될 수 있는 만큼 전체 사업계획이 조화를 이루고, 기술 하나 하나가 전체 물류산업과 타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실행력이 높이는 것이 사업 성패를 좌우하는 만큼 이에 대한 속도감 있고, 가시화된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말 그대로 고부가가치 융복합 기술개발사업이다. 기존의 서비스에 부가가치를 최대한 높이고, 여타 기술과 인프라를 믹싱해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사업 추진단 혼자로는 불가능한 사업이다. 따라서 사업의 성패는 얼마의 정책적 지원이 뒤따르고, 관련 부서가 상호 배려와 협의를 통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희비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