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농수산물 수입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전보원 등에서 위해식품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이들 정보는 미생물, 잔류농약, 식품첨가물, 알레르기 성분 등이며 주로 글로벌 이슈가 되는 위해요소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전체 운송과정에서의 물류 주체들 간 관련 데이터의 막힘없는 공유와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비즈니스 모델 및 인터페이스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농수산물 무역 거래에서, 통관 검사 시 거부(rejection) 비율이 매년 증가되는 추세이다. 미국의 경우 수입된 수산물의 1%에 대해 수입 수산물 검사를 시행하는데 거부 비율이 51%에 달하고 있다. 거부 이유는 해충 발견, 제품 내 잔류 농약 및 중금속 검출 등이 원인이다. 또한 일부 국가에서는 화물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운송되는 농수산물 화물의 60% 이상이 폐기, 손상 또는 버려지고 있다.

더욱이 농수산물 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원재료 출처가 불분명하게 되고 이를 소비자가 섭취하였을 때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 원전 사고 이후 농수축산물 제품 구매 시 제품에 남아 있는 농약 및 방사능 존재 여부, 생산이력 관리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는 안전성과 신선도 측면에서 농수산물 이력 정보, 완제품 뿐 만 아니라 원재료에 대한 원산지 정보와 운송 이력 정보를 알고 싶어한다. 여기서 화물 상태 모델은 화물 자체에 대한 정보 뿐 만 아니라 보관/운송/하역 등의 단계의 화물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하며, 운송 정보 모델은 운송 액티비티(활동)를 추적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므로 ISO26683-3은 농수산물(Agrifood good)에 대해 운송 전후 또는 운송 중 운송과 화물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침을 개발하는 것으로, 농수산물 등 실시간 관리가 필요한 화물 운송 및 농수산물에 대한 가시성(Visibility), 신뢰성(Reliability), 안전성(Safety) 및 신선도(Freshness) 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업무 프로세스 모델로 개발되었다. 본 표준은 UN/CEFACT(United Nations Centre for Trade Facilitation and Electronic Business, 국제 전자문서표준화기구) 표준 방법론과 ISO 19845(ISO/IEC 19845:2015, Information technology-Universal business language version (2.1) (UBL 2.1))를 기반으로 하여 아키텍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정보 모델을 포함하며 농수산물 운송 측면의 신뢰성, 안전성, 신선도를 높이기 위해 요구사항을 수집 및 분석하여 표준 방법론에 의거 모델링을 개발하였다. 표준 개발 시, 기본적으로 운송 분야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운송과 국외 운송으로 구분하였으며, 대상 화물은 농수산물로 정하였다.

농수산물의 운송 중 화물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신뢰성(Reliability)
- 농수산물 운송 멈춤(또는 중단, Suspended) 여부 확인
- 정시도착을 위한 도착예상시간 예측할 수 있어야 함
- 운송 도중 컨테이너 개폐 여부 확인

○ 안전성(Safety)
- 원 재료 또는 완제품에 대한 검사 정보
- 농수산물의 정확한 상태 파악이 중요함: 밀반입된 농수산물 제품 또는 패킹된 재료는 침입종 존재 가능, 불법 폐기, 파손으로 인한 피해 발생, 환경 변화 발생 가능함
- 제조, 운송 및 보관 중 농수산물 추적 필요

○ 신선도(Freshness)
- 운송 중 농수산물 상태 확인, 특히 신선물류 또는 콜드체인 운송에서는 중요함
- 상태 정보 : 온도, 습도, 포장용기 개폐 여부, 진동, 관성력(g-force)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하며, 분석 결과는 운송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농수산물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운송과 신선도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노란 사각 박스로 명시된 화물은 운송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운송되며, 비즈니스 주체 간 상호 교환되는 전자문서는 화물 운송, 화물 상태 및 검사 정보이다. 그림에 명시된 바와 같이 화물의 물리적 운송 흐름과 정보 흐름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발생 시점 역시 상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 서비스 사용자(Transport Service User) 및 물류 거점(logistics Base)는 송하인, 수하인, 창고/보관업자, 검사 기관, 항만/터미널/기차역 등이 해당된다. 운송을 요청받은 운송 서비스 사업자는 운송 서비스 사용자 위치에서 화물을 적재하고 여러 물류 거점을 거쳐 목적지까지 운송한다. 여기서 단일 운송 서비스 사업자가 목적지까지 화물은 운송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다음 운송 서비스 사업자에게 화물 운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를 수출입 운송의 경우 환적(transshipment) 또는 여러 운송수단을 통해 이뤄지는 복합운송(multimodal transport)이라 한다. 운송 서비스 사업자는 운송 전/후 또는 운송 중 발생하는 운송수단 및 화물의 상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이 정보는 상태정보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상태정보추적 서비스 제공자는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 정보를 운송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