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 조양호 회장(400억원)과 한진해운 최은영 전 회장(100억원)의 사재출연 자금이 물류현장에 투입됐지만,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 해법은 더욱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물류사업자들 사이에선 이번 사태로 정부관계자와 한진해운, 제조유통사 화주들, 모두 '쌤통'이란 자조섞인 한탄도 나온다.   

더구나 물류산업의 중요성은 매번 사태가 곪을 대로 곪아 터지고, 커져서야 대책이 나온다는 점에서 더 큰 문제가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정부와 산업계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리 산업시장은 이미 지난 2004년 물류대란으로 물류서비스가 얼마나 중요하고, 그 후폭풍이 큰지를 뼈저리게 학습했었다.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정부와 물류시장 고객인 산업계가 물류업계를 대하는 자세는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현장 관계자들의 불만이다.

시장 곳곳에선 여전히 물류서비스 종사자들을 파트너 인정은 고사하고, 어떻게 해서든 비용을 줄이기 위한 수단과 도구로만 인식한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택배화물가격은 2천원에도 못 미치고, 여기다 운임 깎기, 줄 세우기도 비일비재하다. 더구나 사회적으로 영원한 ‘을’들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는 볼멘소리도 폭발 직적이다.

한 물류업계 원로는 “겉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현재의 물류시장은 속으로 곪을 대로 곪아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다”며 “당장 화물연대와 택배서비스 업계가 하루 이틀만 물류를 멈추면 대한민국 산업시장은 마미 되는데, 그걸 모르고 최악으로 가서야 때 늦은 후회를 한다”고 꼬집었다. 이번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의 경우도 박근혜 대통령이 한진해운의 무책임 탓이라고 비난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정부 몫으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물류서비스의 중요성과 그 동안 정부 정책 부재는 수없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정작 이에 귀 기울여야 하는 화주들과 정책 당사자들은 ‘소귀에 경 읽기’ 식의 잔소리로만 들리는 모양이다. 일부 물류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로 수출입 무역업계와 유통 제조사들 모두 제대로 혼이 나 봐야한다”는 냉소 섞인 비아냥도 커진다.

화물연대 소속의 화물운송 차주 박 모씨 역시 “당장 일감이 없어 육상물류시장도 몸살을 앓고 있지만, 또 한편으로 고소하다”며 “이번 기회에 대형 유통사 화주들이 던, 정부 던 국민 모두가 물류서비스가 얼마나 중요하고, 땜질식 근시안적 정책으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물류대란은 지난 2004년 육상운송 물류시장의 파행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국제적으로 대외 신인도에 큰 악영향을 미칠 뿐 국제간 산업 공급망에도 치명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진해운의 경우 컨테이너선의 주류를 이루고 있어 기간 산업계 보다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공산품의 수출입 유통 물류시장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부가 한진해운 탓만으로 불통의 정책을 일관할 경우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직 간접적 피해가 불가피해 질 수 있으며, 민심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금 당장 사태를 해결하는 것도 급선무지만, 이번 이야 말로 대한민국 물류산업의 근간을 새롭게 짜는 거시적 정책안이 절실해 보인다.

저작권자 © 물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